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이미지 | 저작권정보 | ||
---|---|---|---|
저작권자 | 아시아채널 | ||
전자자원소장처 | 아시아채널 | ||
공공누리 저작권 |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
CCL 정보 | |||
소스코드 |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501001-001-V00262?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N2R)
번호 | 파일명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1 | 바람과 돌의 섬, 제주_1280X720.mp4 | 53.79 MB |
![]() |
2 | 바람과 돌의 섬, 제주_1920X1080.mp4 | 53.75 MB |
![]() |
콘텐츠 기본 정보(N2C)
UCI | I801:1501001-001-V00262 | ||||||||||||||||||
---|---|---|---|---|---|---|---|---|---|---|---|---|---|---|---|---|---|---|---|
제목 | 바람과 돌의 섬, 제주 | ||||||||||||||||||
콘텐츠 유형 | 동영상 | 언어정보 | 국문 | ||||||||||||||||
생산자 정보 |
|
||||||||||||||||||
기여자 정보 |
|
||||||||||||||||||
기술 정보 |
|
||||||||||||||||||
요약 정보 | 바람과 돌과 더불어 사는 제주 사람들의 지혜, 성읍민속마을에서 보내는 제주의 하루. 예로부터 바람, 돌, 여자가 많아 삼다도(三多島)라 불린 제주. 제주의 초가에는 흙이 귀한 땅에서 돌을 유용하게 쓸 줄 알고, 거센 바람을 유연하게 받아들일 줄 알았던 제주 사람들의 지혜가 담겨 있다. 마을을 지키는 돌하르방, 낮은 돌담의 올레길, 그 너머 띠를 두른 낮은 초가와 소박한 세간. 바람, 돌, 그리고 사람이 어우러진 제주의 하루를 소개한다. | ||||||||||||||||||
내용 | 바람과 돌과 더불어 사는 제주 사람들의 지혜, 성읍민속마을에서 보내는 제주의 하루. 예로부터 바람, 돌, 여자가 많아 삼다도(三多島)라 불린 제주. 제주의 초가에는 흙이 귀한 땅에서 돌을 유용하게 쓸 줄 알고, 거센 바람을 유연하게 받아들일 줄 알았던 제주 사람들의 지혜가 담겨 있다. 마을을 지키는 돌하르방, 낮은 돌담의 올레길, 그 너머 띠를 두른 낮은 초가와 소박한 세간. 바람, 돌, 그리고 사람이 어우러진 제주의 하루를 소개한다. | ||||||||||||||||||
대본 정보 | 이미지 문화유산 바람과 돌의 섬, 제주 성읍 민속 마을 중요민속자료 제188호 조선시대, 제주 동부 지역의 중심지로 제주 전통 초가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마을 정살문 제주 전통 가옥의 대문 바람을 피하기 위해 낮은 지형이 돌담을 두르고 그 안에 집을 지은 제주 전통 초가 지붕 역시 바람에 견디도록 띠를 엮어 만든 집줄을 바둑판처럼 얽어 고정 새촘 빗물이 귀한 제주에서 빗물을 모으던 도구 허벅 물동이 바닥에 돌이 많은 제주에서 등에 지고 다니던 물동이 바람 돌 사람이 어우러진 섬 제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