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이미지 | 저작권정보 | ||
---|---|---|---|
저작권자 | 작은별 | ||
전자자원소장처 | 작은별 | ||
공공누리 저작권 |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
CCL 정보 | |||
소스코드 |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501001-001-V00270?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N2R)
번호 | 파일명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1 | 탑을 품은 불전, 법주사 팔상전_1280X720.mp4 | 56.71 MB |
![]() |
2 | 탑을 품은 불전, 법주사 팔상전_1920X1080.mp4 | 56.27 MB |
![]() |
콘텐츠 기본 정보(N2C)
UCI | I801:1501001-001-V00270 | ||||||||||||||||||
---|---|---|---|---|---|---|---|---|---|---|---|---|---|---|---|---|---|---|---|
제목 | 탑을 품은 불전, 법주사 팔상전 | ||||||||||||||||||
콘텐츠 유형 | 동영상 | 언어정보 | 국문 | ||||||||||||||||
생산자 정보 |
|
||||||||||||||||||
기여자 정보 |
|
||||||||||||||||||
기술 정보 |
|
||||||||||||||||||
요약 정보 | 전(殿)이냐 탑(塔)이냐웅장한 건축 속에 목탑 건축 양식을 담다.속리산 자락에 위치한 법주사는 국보, 보물, 지정문화재 등어느 것 하나 놓칠 수 없는 문화재들로 가득하다.그러나 법주사의 백미는 팔상전(捌相殿). 일반적으로 팔상전은 부처를 그린 불화인 팔상도를 모시는 곳이지만다른 절들의 그것과 달리 법주사 팔상전만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기나긴 역사 속에 여전히 장중한 멋을 간직한 국내 유일한 목탑(塔) 법주사 팔상전을 만나본다.<보은 법주사 팔상전 방문정보> 위치 : 충북 보은 | ||||||||||||||||||
내용 | 전(殿)이냐 탑(塔)이냐 웅장한 건축 속에 목탑 건축 양식을 담다. 속리산 자락에 위치한 법주사는 국보, 보물, 지정문화재 등 어느 것 하나 놓칠 수 없는 문화재들로 가득하다. 그러나 법주사의 백미는 팔상전(捌相殿). 일반적으로 팔상전은 부처를 그린 불화인 팔상도를 모시는 곳이지만 다른 절들의 그것과 달리 법주사 팔상전만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기나긴 역사 속에 여전히 장중한 멋을 간직한 국내 유일한 목탑(塔) 법주사 팔상전을 만나본다. <보은 법주사 팔상전 방문정보> 위치 :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209 법주사 연락처 : 법주사 종무소 043)543-3615 주변 볼거리 : 속리산 오리숲, 속리산 문장대, 말티고개, 정이품송, 삼년산성 관련 홈페이지 : http://beopjusa.or.kr |
||||||||||||||||||
대본 정보 | 전(殿)이냐 탑(塔)이냐 웅장한 건축 속에 목탑 건축 양식을 담다. 속리산 자락에 위치한 법주사는 국보, 보물, 지정문화재 등 어느 것 하나 놓칠 수 없는 문화재들로 가득하다. 그러나 법주사의 백미는 팔상전(捌相殿). 일반적으로 팔상전은 부처를 그린 불화인 팔상도를 모시는 곳이지만 다른 절들의 그것과 달리 법주사 팔상전만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기나긴 역사 속에 여전히 장중한 멋을 간직한 국내 유일한 목탑(塔) 법주사 팔상전을 만나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