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진흥원 국가유산 콘텐츠 검색 서비스


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
대표이미지 저작권정보
저작권자 미디어소풍
전자자원소장처 미디어소풍
공공누리 저작권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CCL 정보
소스코드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501001-001-V00348?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N2R)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
번호 파일명 파일크기 다운로드
1 황금보검의 비밀 2부 황금보검은 누가 만들었을까?_1280X720.mp4 131.05 MB 다운로드

콘텐츠 기본 정보(N2C)

콘텐츠 기본 정보
UCI I801:1501001-001-V00348
제목 황금보검의 비밀 2부 황금보검은 누가 만들었을까?
콘텐츠 유형 동영상 언어정보 국문
생산자 정보
생산자 정보
생산자 생산일자
미디어소풍 2012-05-03
기여자 정보
기여자 정보
역할 정보 기여자 명
제작사 미디어소풍
프로듀서 미디어소풍
기술 정보
기술 정보
기술 영역 기술 내용
내용정보 보물 제635호 경주 계림로 보검
역사정보 삼국시대, 신라
지리정보 경상북도 경주시
요약 정보 2004년 8월 불가리아에서

대량의 황금유물이 발견되었다.

고대 트라키아인들의 그 유물들 사이에서

놀랍게도 신라의 황금보검과 유사한 형태의 장신구가 나왔는데...

과연 황금보검의 비밀을 푸는 열쇠가 될 것인가.



<경주 대릉원 일원 방문정보>



위치: 경북 경주시 노동동 261 등

연락처: 054-779-6077~80

주변 볼거리 : 국립경주박물관, 김유신장군 묘, 법흥왕릉, 선덕여왕릉

홈페이지: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
내용 2004년 8월 불가리아에서

대량의 황금유물이 발견되었다.

고대 트라키아인들의 그 유물들 사이에서

놀랍게도 신라의 황금보검과 유사한 형태의 장신구가 나왔는데...

과연 황금보검의 비밀을 푸는 열쇠가 될 것인가.



<경주 대릉원 일원 방문정보>



위치: 경북 경주시 노동동 261 등

연락처: 054-779-6077~80

주변 볼거리 : 국립경주박물관, 김유신장군 묘, 법흥왕릉, 선덕여왕릉

홈페이지: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5120000,37
대본 정보 2004년 8월, 불가리아에서 전대미문의 유물이 발견된다.고대 트라키아인들의 황금유물이 대량 발굴되면서 세계적 화제가 된 것이다.

그런데 그 화려한 유물 속에서 신라의 미스터리라 불리는 황금보검의 문양과 유사한장신구가 발견된다.

우연히 발견된 황금소용돌이 문양은 과연 신라 황금보검의 비밀을 풀 열쇠가 될 수 있을까?

경북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지구 상북도 경주시 미추왕릉지구에서 고대 신라인의 작은 무덤하나가 발굴됐다. 그리고 그 안에 학계의 비상한 관심이 쏟아졌던 칼 하나가 놓여있었다.

계림로 14호분에서 출토된 금으로 만든 신라때의 검 화려한 금으로 만든 이국적이고 독특한 문양의 황금보검. 주인이 누구인지 누가 만들었는지40여년이 지나도록 밝혀지지 않았던 유물이다.

그런데 불가리아에서 신라 황금보검의 비밀을 풀 단서가 발견됐다. 우리와 공통점을 찾기 힘든 나라 불가리아! 어떻게 신라 황금유물이 동유럽의 불가리아, 고대 트라키아와 연결될 수 있었던 것일까!

동물의 뿔을 형상화한 트라키아 시대 뿔잔은초원에 살던 유목민족 고유의 유물로,

신라에서도 동일한 계통의 유물이 발견됐다.

트라키아 소용돌이 장식 /신라 황금보검 장식 : 비교 9한반도에서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동유럽의 불가리아에서 발견된 장식..

이 또한 신라의 황금보검과 동일한 문양이었다.

5세기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황금으로 만들어진 칼집. 놀랍게도 신라황금보검과 거의 유사한 트라키아 시대의 보검도 발견되었다.

불가리아에서 발견된 이 칼이 바로 신라의 황금보검의 원형은 아닐까?

-------------------------------------------------------------------------------

1. 보검의 생산지는 동유럽일까?

-------------------------------------------------------------------------------

신라 황금보검은 1500년 전,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동유럽에서 제작되었거나 혹은 들여온 것일까?

기원후 3-6세기까지 유럽은 동방에서 온 이민족 침략으로 몸살 앓았다.갑자기 말을 타고 등장한 훈족, 즉 흉노족이 유럽을 정복해갔던 시기였다.

청동솥(동복):도르릭나르스 4호무덤 출토 훈족유물 4흉노족의 문화는 유럽으로 이동해갔다.

기마인물형토기:경주 금령총 출토 신라유물 8트라키아 시대 또 다른 유물 청동솥,

이것역시 신라의 봉독과 거의 유사해보였다.

신라의 황금보검에서 보이는 누금기법을 사용한 장식구!훈족이 촉발한 민족이동시기 유물들은

신라 황금보검과 비슷한 기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초원길을 통해 교류했던 당시, 신라의 황금보검 또한 불가리아 (고대 트라키아)에서 온 것이 아닐까?

-------------------------------------------------------------------------------

2. 보검은 누구의 작품인가

-------------------------------------------------------------------------------

신라 황금보검에 상감된 보석은 동유럽이 주 생산지인 석류석이다. 한반도에서는 한 번도 사용된 적 없는 보석이다.

당시 동로마 지역에서 발굴된 유물을 살펴보니, 황금보검과 똑같은 보석감입 기법이 사용된 것을확인 할 수 있었다. 대부분 석류석을 넣은 것이 또 하나의 특징이다.

화석류석과 소용돌이 문양의 전통, 이것은 황금보검의 생산지가 흑해연안 동로마 문화권이었다는 것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다.

동서양을 아울러 초원을 중심으로 거대한 민족이동이 이뤄졌던 당시, 동유럽으로 간 훈족이 금세공기술자에게 공예품을 주문 제작했을 것이다.

신라의 황금보검은 동방에서 이민족의 요구로 동로마의 장인이 만들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황금유물들 원산지가 동로마였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물이 있다.

황남대총에서 발굴된 로만글라스는 흑해의 유물과 거의 유사하다. 이것은 흑해와 신라의 고대문명이 긴밀하게 연결되어있었음을 시사한다.

황금보검은 천 오백년 전, 수 천 킬로미터 떨어진 동유럽과 신라 사이에 거대한 초원 문화가 형성되었으며,활기찬 국력으로 대륙을 넘나들던 신라의 진취성을 보여준다.

신비의 역사, 황금보검을 간직한 나라, 신라는 세상 끝 작은 나라가 아니라 전 세계와소통하던 강국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