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진흥원 국가유산 콘텐츠 검색 서비스


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
대표이미지 저작권정보
저작권자 바이젠TV코리아
전자자원소장처 바이젠TV코리아
공공누리 저작권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CCL 정보
소스코드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501001-001-V00374?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N2R)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
번호 파일명 파일크기 다운로드
1 제주도 고산리, 1만 년의 비밀_1280X720.mp4 112.11 MB 다운로드

콘텐츠 기본 정보(N2C)

콘텐츠 기본 정보
UCI I801:1501001-001-V00374
제목 제주도 고산리, 1만 년의 비밀
콘텐츠 유형 동영상 언어정보 국문
생산자 정보
생산자 정보
생산자 생산일자
바이젠TV코리아 2012-10-24
기여자 정보
기여자 정보
역할 정보 기여자 명
제작사 바이젠TV코리아
프로듀서 바이젠TV코리아
기술 정보
기술 정보
기술 영역 기술 내용
내용정보 사적 제412호 제주 고산리 유적
역사정보 선사시대
지리정보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요약 정보 1987년 이후 첫 발견 이후,

여러 차례의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제주도 고산리.



그 결과 무려 1만 년 전에 형성된

신석기 유적으로 밝혀졌다.



10만여 점의 유물이 출토된 가운데,

최근 주목할만 한 유물이 모습을 드러냈다.



과연 당시 고산리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국립제주박물관 방문정보>



주소: 제주시 일주동로 17

연락처: 064)720-8000

관련 홈페이지: http://jeju.museum.go.kr
내용 1987년 이후 첫 발견 이후,

여러 차례의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제주도 고산리.



그 결과 무려 1만 년 전에 형성된

신석기 유적으로 밝혀졌다.



10만여 점의 유물이 출토된 가운데,

최근 주목할만 한 유물이 모습을 드러냈다.



과연 당시 고산리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국립제주박물관 방문정보>



주소: 제주시 일주동로 17

연락처: 064)720-8000

관련 홈페이지: http://jeju.museum.go.kr
대본 정보 무려 1만 년 전 제주도 고산리.이곳에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1987년부터 진행된여러 차례의 발굴조사 결과,계획적인 마을을 이뤄집단 취락생활을 한 것으로 밝혀진 고산리.

토기, 석기 등 다양한 생활도구도 출토됐다.

과연 당시 고산리 사람들은어떻게 살았을까.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선사유적으로 추정되는 제주도 고산리.

최근 발굴조사까지10만여 점의 유물이 출토됐다.

현재 제주문화유산연구원에보관돼 있는 화살촉들.신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유물들이다.

그런데 그중 단연 눈에 띄는 유물이 있다.흔히 볼 수 있는 돌덩어리 같지만,

자세히 보면일정한 간격의 홈이 있는 이것.(pause)과연 무엇에 쓰는 물건일까.

바다가 훤히 내려다보이는해안저지대에 위치한 고산리.

여러 차례 발굴조사 결과,기원전 8,000년 전 경에 조성된선사시대 유적으로 밝혀졌다.

켜켜이 쌓인 시간의 흔적만큼다양한 유물이 출토된 고산리 유적.(pause)특히 한반도의 그 어느 곳보다이른 시기의 유적으로 밝혀져당시 신석기인들의 생활상을 연구하는데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런데 최근 이곳에서예사롭지 않은 물건이 출토됐다.

현재 제주문화유산연구원에서보관 중이다.

바로 한눈에 시선을 사로잡는주먹만 한 4개의 돌덩어리가 그 주인공.

가운데 일정한 간격으로홈이 파였다.분명 뭔가로 휘감았던 흔적이다.(pause)이 유물의 정체는 바로 어망추.

어망추는 그물에 매달아서그물이 물속에 가라앉게 하는 어로도구다.그물을 이용한 어로 활동은많은 사람이 동원돼야 했던 만큼집단생활의 흔적으로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집단생활의 흔적이또 발견됐다.

수천여 점에 달하는 화살촉과 창끝 등사냥도구가 출토된 것.

특이한 점은 제주에서 나지 않는 돌로만들어졌다는 것이다.

1만 년 전 고산리.이곳에서 과연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국립제주박물관.

이곳 선사실에는고산리에서 출토된 유물들이 전시돼 있다.

그중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것은돌로 만든 도구들.용도에 따라 다듬어 사용한 흔적이 역력하다.

그런데 이 석기들은남해안에서 발견되는 돌로 만들어진 게 대부분.화산섬인 제주도는 현무암으로 이뤄져있는데,이 석기의 재질은제주에서 생산되지 않는 돌인 것이다.

즉 다른 지역과 교역을 했다는증거인 셈이다.

이런 증거는 최근 발굴조사에서 발견된유물에서도 나타난다.

바로 둥근모양의 귀걸이.40% 정도 깨진 상태로 출토됐고,옅은 살구빛을 띠고 있다.

재질은 옥이나 규장암으로 추정되는데,당시 제주도에는 이런 광물이 없었다.

비록 외딴 섬나라였지만,다른 지역과 활발한 대외교류를 통해독자적인 문화를 만든 고산리 신석기인들.

그들은 한반도 그 어느 곳보다이른 시기에 살았던 우리의 또 다른 역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