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이미지 | 저작권정보 | ||
---|---|---|---|
저작권자 | 작은별 | ||
전자자원소장처 | 작은별 | ||
공공누리 저작권 |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
CCL 정보 | |||
소스코드 |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501001-001-V00583?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N2R)
번호 | 파일명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1 | 우도의 반짝이는 하얀 보석밭, 제주 우도 홍조단괴_1280X720.mp4 | 62.31 MB |
![]() |
2 | 우도의 반짝이는 하얀 보석밭, 제주 우도 홍조단괴_1920X1080.mp4 | 61.98 MB |
![]() |
콘텐츠 기본 정보(N2C)
UCI | I801:1501001-001-V00583 | ||||||||||||||||||
---|---|---|---|---|---|---|---|---|---|---|---|---|---|---|---|---|---|---|---|
제목 | 우도의 반짝이는 하얀 보석밭, 제주 우도 홍조단괴 | ||||||||||||||||||
콘텐츠 유형 | 동영상 | 언어정보 | 국문 | ||||||||||||||||
생산자 정보 |
|
||||||||||||||||||
기여자 정보 |
|
||||||||||||||||||
기술 정보 |
|
||||||||||||||||||
요약 정보 | 제주의 북쪽 해안에는 푸른 바다와 대조적인 뽀얀 빛깔 자랑하는 사빈, 사구가 많다. 대부분은 패사로 이루어진 해변이지만 제주 우도의 해빈은 패사가 아닌 홍조사 또는 홍조단괴로 되어 있다. 물 속에서 서식하는 석회조류 중 하나인 홍조류가 탄산칼슘을 침전시켜 형성된 홍조단괴는 얕은 바다에서 자라며 태풍에 쓸려 암초 주변에서 발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곳 우도 홍조단괴 해빈은 직경 1cm 내외부터 5∼8cm 정도로 울퉁불퉁 매우 다양한 크기의 홍조사와 홍조단괴가 해빈의 주된 퇴적물로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도 드문 희귀 | ||||||||||||||||||
내용 | 제주의 북쪽 해안에는 푸른 바다와 대조적인 뽀얀 빛깔 자랑하는 사빈, 사구가 많다. 대부분은 패사로 이루어진 해변이지만 제주 우도의 해빈은 패사가 아닌 홍조사 또는 홍조단괴로 되어 있다. 물 속에서 서식하는 석회조류 중 하나인 홍조류가 탄산칼슘을 침전시켜 형성된 홍조단괴는 얕은 바다에서 자라며 태풍에 쓸려 암초 주변에서 발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곳 우도 홍조단괴 해빈은 직경 1cm 내외부터 5∼8cm 정도로 울퉁불퉁 매우 다양한 크기의 홍조사와 홍조단괴가 해빈의 주된 퇴적물로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도 드문 희귀한 사례로 꼽히고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한때는 산호가 죽어서 만들어진 산호사해빈으로 잘못 알려졌었고, 지금은 홍조단괴 해빈이 조금씩 유실되는 위기에도 불구하고 보석처럼 빛나는 홍조단괴 해빈의 아름다운 풍광은 여전하다. 하얀 밥알 뻥튀기가 흩뿌려진 듯 바다보다 더 눈부신 해변을 감상해 본다. <제주 우도 홍조단괴 해빈 방문정보>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 2215-5 외 문의처: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정책과 064-710-3314 주변볼거리: 성산일출봉, 섭지코지, 토끼섬 문주란자생지 관련 웹사이트: http://www.jejutour.go.kr /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정보 |
||||||||||||||||||
대본 정보 | 제주의 북쪽 해안에는 푸른 바다와 대조적인 뽀얀 빛깔 자랑하는 사빈, 사구가 많다. 대부분은 패사로 이루어진 해변이지만 제주 우도의 해빈은 패사가 아닌 홍조사 또는 홍조단괴로 되어 있다. 물 속에서 서식하는 석회조류 중 하나인 홍조류가 탄산칼슘을 침전시켜 형성된 홍조단괴는 얕은 바다에서 자라며 태풍에 쓸려 암초 주변에서 발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곳 우도 홍조단괴 해빈은 직경 1cm 내외부터 5∼8cm 정도로 울퉁불퉁 매우 다양한 크기의 홍조사와 홍조단괴가 해빈의 주된 퇴적물로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도 드문 희귀한 사례로 꼽히고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한때는 산호가 죽어서 만들어진 산호사해빈으로 잘못 알려졌었고, 지금은 홍조단괴 해빈이 조금씩 유실되는 위기에도 불구하고 보석처럼 빛나는 홍조단괴 해빈의 아름다운 풍광은 여전하다. 하얀 밥알 뻥튀기가 흩뿌려진 듯 바다보다 더 눈부신 해변을 감상해 본다. <제주 우도 홍조단괴 해빈 방문정보>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 2215-5 외 문의처: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정책과 064-710-3314 주변볼거리: 성산일출봉, 섭지코지, 토끼섬 문주란자생지 관련 웹사이트: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정보 http://www.jejutour.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