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이미지 | 저작권정보 | ||
---|---|---|---|
저작권자 | |||
전자자원소장처 | |||
공공누리 저작권 | |||
CCL 정보 | |||
소스코드 |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502004-002-V00004?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N2R)
번호 | 파일명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1 | KBS_6시_내고향_내고향_문화재_2편_수원화성_클린_CHF_1920X1080.mp4 | 243.93 MB |
![]() |
콘텐츠 기본 정보(N2C)
UCI | I801:1502004-002-V00004 | ||||||||||||||||||
---|---|---|---|---|---|---|---|---|---|---|---|---|---|---|---|---|---|---|---|
제목 | [KBS 6시 내고향] 내고향 문화재 2편 수원화성 | ||||||||||||||||||
콘텐츠 유형 | 동영상 | 언어정보 | 국문 | ||||||||||||||||
생산자 정보 |
|
||||||||||||||||||
기여자 정보 |
|
||||||||||||||||||
기술 정보 |
|
||||||||||||||||||
관련 키워드 | 적 제3호 수원 화성; | ||||||||||||||||||
내용 | 오늘 가볼 문화재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인 수원 화성입니다. 5.7km에 달하는 성곽 건축의 꽃이죠. 지금 수원 화성 가보겠습니다. | ||||||||||||||||||
대본 정보 | 여자MC) 자 이번에는 우리 고향의 문화재 만나러 가보겠습니다. 임혁필씨 안녕하세요 남자MC) 아우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자막> 임혁필 인물> 임혁필 임혁필) 잠든 문화재에 생명을 불어넣는 내고향 문화재 아 오늘 가볼 문화재는요 유네스코 세계 유산인 수원 화성입니다. 아 5.7km에 달하는 정말 그 성곽 건축의 꽃이죠 네 지금 수원 화성 가보겠습니다. 타이틀> 내고향 문화재 자막> 성곽 건축의 꽃 ‘수원화성’ 경기도 수원 자막> 장안문 경기도 수원시 nar>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수원 화성 이곳은 4개의 성문 중 북쪽에 위치한 장안문인데요 nar> 가까이에서 본 그 모습은 그야말로 입이 딱 벌어질 정도로 웅장하고 정교했습니다. 자막> 유네스코 세계유산 수원화성! 임혁필) 와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화성 정말 웅장하고 너무나 아름답습니다. 캬~ 정말 제가 이 눈으로 가치를 제대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nar>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수원으로 옮긴 후 정조는 명령을 내리는데요 정조> 이곳에 절대 무너지지 않는 첨단 요새를 건설하라! 자막> 1794년 건설시작 nar> 1794년 정월에 시작해 2년 반만인 1796년 9월 드디어 완공됩니다. 자막> 성벽에는 총 네 개의 성문과 다섯 개의 암문 nar> 성벽에는 총 4개의 성문과 5개의 암문이 있는데요 자막> 수원화성/ 사적 제3호 조선 제22대 정조대왕이 효심으로 건축한 조선 성곽 건축의 꽃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sov> 대단하네요 진짜 자막> 장안문(북문) 수원화성의 정문은 왜 북쪽 장안문일까? nar> 보통은 암문이 정문인데 수원 화성은 북쪽 장안문이 정문입니다. 왜 그럴까요? 자막> 궁에서 33km 떨어진 곳 수원 nar> 서울에 있는 궁에서 출발해 수원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도착하는 곳이 자막>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방문하기 위해 총 13번 수원으로 행차했던 정조 nar> 바로 북쪽 장안문입니다. sov> 이게 이게 임금님을 맞이하는 문이라서 정문이 된거군요 자막> 임금을 가장 먼저 맞이하는 곳 ‘북쪽 장안문’ nar> 장안무는 서울의 정문 숭례문보다 커 우리 나라에서 가장 큰 성문입니다. 지도> 화홍문 nar> 성문으로 들어가 동쪽으로 이동하면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것이 자막> 화홍문/ 북동쪽에 위치한 수문 아름다운 무지개가 뜨는 수문으로 7개 무지개 모양의 수문이 있고 그 크기가 모두 다르다 nar> 화홍문인데요 남북으로 흐르는 수원시대 범람을 막아주는 수문입니다. nar> 7개의 수문 크기가 다 다른 것도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sov> 웅장한 느낌이 nar> 자 계속해서 동쪽으로 쭉 이동해볼까요? 지도> 방화수류정 자막> 수원화성 방화수류정 보물 제 1709호 nar> 수원화성에서 아름다운 건축물 하면 또 빼놓을 수 없는게 있는데요 방화수리정입니다. 자막> 용연 정자 아래 성 밖에는 용이 사는 연못이 있고 못가에는 돌로 만든 용두가 남아 있다 sov> 와 이게 연못이에요? 자막> 꽃을 찾고 버드나무를 따라가는 아름다운 정자 ‘방화수류정’ nar> 이 뿐 아니라 이름도 기가 막힙니다. 꽃을 찾고 버드나무를 따라가는 아름다운 정자 크~ 자막> 빛을 받으면 더욱 아름다운 ‘꽃과 별’을 의미하는 십자 모양 nar> 이 무늬가 빛을 받으면 아름다움이 배가 되는데요 반짝반짝 빛이 난다고 하네요 자막> 수원화성의 꽃 ‘방화수류정’ 자막> 이묘일/ 수원화성 문화해설사 인물> 이묘일/ 수원화성 문화해설사 이묘일) 화성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리고 풍수지리상 이곳이 용의 머리 부분이고 저 반대편이 용의 꼬리라고 해요 그래서 용의 머리에 자막> 용의 머리에 족두리처럼 올라앉았다라고 해서 ‘용두각’ 이묘일) 꼭 저기 족두리처럼 올라앉았다라고 해서 용두각 자막> 정조가 ‘신경을 많이 쓸 것’을 당부했던 곳! 이묘일) 정조 임금님은 실질적으로 이곳을 정말 잘 지어라 어 신경을 많이 써라라고 했는데 사실상 다 짓고 이곳에 왔을 때는 그런 이야기도 하셨답니다 자막> 정조 ‘너~~무 잘 지었다!’ 이묘일) 너~무 잘 지었다 임혁필) 크~ 이묘일) 과도했다 자막> 아름다움과 실용성을 모두 겸비한 수원화성 sov> 아 정말 잘 지었다 nar> 그런데 수원 화성은 아름답기만 한게 아니라 실용성까지 갖췄는데요 자막> 봉돈 적군의 공격에 대비해 포혏과 총안을 갖추고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을 피워 위험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는 곳 nar> 봉돈은 적군의 공격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는 곳이고 자막> 동북공심돈 동심돈은 ‘속이 빈 돈대’라는 말 그대로 높은 망루 건물 안에 3층으로 된 초소 nar> 공심돈은 지금의 초소 같은 곳인데요 자막> 동북공심돈 조선시대 성곽 중 유일하게 화성에만 있는 시설 nar> 조선시대 성곽 중에서 이곳에서만 있다고 합니다. 임혁필) 아주 잘 지었습니다. 자막> 잠깐만요! 임혁필) 어 잠깐만요! 이묘일) 네 자막> 수원화성이 부실공사?! 임혁필) 하하 아이 뭐 이렇게 잘 지은 것 같아도 역시나 부실공사 나올 줄 알았습니다. sov> 어 왜요? 임혁필) 각도가 밑으로 가 있고 이거는 위로 가 있고 아니 왜 이렇게 지었어요? 이묘일) 네 부실 공사처럼 보이실 수도 있으시죠? 네 여기 지금 여기에서부터 자막> 세 개의 구멍이 한 벌! 이묘일) 여기까지가 한 세트입니다. 한 세트는 구멍이 세 개가 있는거고요 자막> 멀리 있는 적과 가까이 있는 적을 동시에 대응가능! 이묘일) 적들은 멀리에서 올지 아니면 빨리 가까이에서 붙어 있는 적들 두 개가 다 있겠죠? 임혁필) 네 자막> 멀리 있는 적들을 공격하는 먼~ 총구멍! 이묘일) 멀리서 오는 적들을 위한 먼 총구멍! 자막> 가까이 있는 적들을 공격하는 가까운 총구멍! 이묘일) 가까이 있는 적들을 쏘기 위한 가까운 총구멍 자막> ‘원총안!’ ‘근총안!’ 이묘일) 원총안 근총안 자막> 총구의 다양한 모양 덕분에 자유로운 사격이 가능! nar> 이렇게 총구의 다양한 모양 덕분에 자유 자재로 사격이 가능했습니다. 자막> 수원화성 4개의 성문에는 또 다른 구멍이 있다? nar> 그런데 제가 이번에는 또 다른 구멍을 발견을 했습니다. 자막> 바로, 다섯 개의 구멍 ‘오성지’ nar> 이번에는 다섯 개가 한 벌입니다. sov> 총구랑은 다른 구멍인 것 같네요 nar> 딩동댕 지금부터 제가 그린 그림을 잘 보면 답이 있습니다. nar> 네 적이 불을 질렀을 때 무를 흘려 보내는 구멍인거죠 지도> 팔달문 자막> 팔달문(수원화성 남문) 보물 제 402호 nar> 드디어 정문을 출발한지 한 시간 반만에 남쪽 팔달문에 도착했습니다. 임혁필) 도심 한 복판에 이렇게 어마어마한 성이 있다는게 정말 대단합니다. 자막> 수원에 있는데 왜 화성이라고 부를까? 임혁필) 그런데 여기가 수원인데 왜 수원에 있는 성이 화성인지 이거를 모르겠어요? sov> 진짜 이름을 왜 그렇게 지었을까요? nar> 제가 다 알아봤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지금의 화성시와 수원을 포함해 모두 수원부라고 불렀는데요 정조가 상곽을 지으면서 이곳 전체를 화성구라고 승격 수원 화성이라고 불렀다네요 sov> 아 이 성곽 덕분에 승격한거군요? 자막> 수원화성은 왜 세계 유산으로 지정됐을까? 임혁필) 어떻게 세계 문화유산이 된건가요? 자막> 6.25 전쟁 당시 많은 부분이 파괴되어 세계 유산으로 인정받을 수 없었다? 이묘일) 네 실질적으로 한국 전쟁을 통해서 많은 부분이 부셔졌다가 새로 지었기 때문에 어 세계 문화 유산으로 인정 받을 수 없는 거는 확실해요 하지만 유네스코에서 이거는 되지 않는다라고 했을 때 우리가 가지고 간 책이 있었어요 자막> 화성성역의궤(1801년) 수원화성 성곽을 축조한 내용을 기록한 책 자막> 화성성역의궤(1801년) 축성의 계획부터 완공의 순간까지 성역의 모든 과정과 순서가 빠트림 없이 자세하게 기록 nar> 수원 화성은 다산 정약용과 명재상 채제공이 화성 축조에 투입되어 자신들의 지식과 경험을 아낌없이 쏟아부었는데요 이 책에는 축성의 계획부터 완공의 순간까지 모든 과정과 순서가 빠트림 없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자막> 수원화성 박물관 장고> 수원화성 박물관 nar> 수원화성이 만들어진 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다고 해서 찾아가봤는데요 sov> 아 작은 모형으로 만들어놨군요 자막>녹로 물레와 도르래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데 쓰이던 기구 성을 쌓거나 큰 집을 지을 때 사용 nar> 수원 화성을 만들 때 당시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었떤 자막> 거중기 화성성역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거중기 40근의 힘으로 625배인 2만 천근의 무게를 들어낼 수 있었다 nar> 최신 도구들이 많이 사용되는데요 대표적으로는 그 거중기 수원 화성을 만들 때 처음 사용했다고 합니다. 자막> 거중기로 어떤 효과를 보았나요? 임혁필) 이 거중기가 축조할 때 어느 정도 효과를 본건가요? 자막> 조성우/ 전문의원, 수원화성박물관 인물> 조성우/ 전문의원, 수원화성박물관 조성우) 원래 수원 화성을 만들기 전에는 약 10년에 기간이 걸릴것으로 예측을 했습니다. 하지만 이 거중기를 비롯한 도구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대략 2년 7개월 정도의 시간으로 단축할 수 있었습니다. 자막> 지방석수 강화부 17명 개성부 42명 경기부 9명 충청도 11명 강원도 3명 황해도 15명 전라도 2명 평안도 1명 nar> 이 뿐만 아니라 조선 8도 장인들을 모두 불러 모았는데요 한 장인이 얼마동안 공사에 투입이 되었는지 세세히 기록하고 성 곳곳에 그 이름들을 새겨 놓았습니다. 자막> 이전까지 부역의 일부로 취급됐던 성역사업 nar> 그리고 이전까지는 성역 사업은 자막> 백성들의 살림살이를 풍요롭게 하위해 노력했던 정조 nar> 부역의 일부로 취급되었었는데요 정조는 일당을 지급하는 파격적인 조치를 했다고 합니다. 자막> 노동에 따른 성과급제 파격적인 조처 자막> 지도 / 서장대 nar> 자 드디어 수원 화성 문화재 여정의 장소> 서장대 자막> 서장대 성의 안팎이 한 눈에 들어오는 수원화성에서 가장 높은 곳 nar>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곳 서장대입니다. 자막>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도심 속 ‘수원화성’ nar> 이곳에서 바라본 풍경은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묘한 매력을 풍겼는데요 nar> 감격스러운 느낌을 사렬서 완성된 그림 여러분들도 그 감동이 느껴지시나요? 임혁필) 정조대왕이 이곳에서 아주 흐뭇하게 바라보셨을 것 같습니다. 자막> 수원화성! 정조 대왕의 꿈과 효심이 담긴 세계가 인정한 최고의 문화재 임혁필) 수원 화성 정조 대왕의 꿈과 효심이 담긴 세계가 인정한 자막> 구성 강문진 자료제공 문화유산채널 촬영 홍성운 연출 허성무 뉴데이픽쳐스 임혁필) 최고의 문화재입니다. 자막> 유네스코 세계유산 경기도 수원 사적 제 3호 <수원화성> 제작지원 문화재청 한국문화재단 자막> 실용성과 예술적 아름다운을 갖춘 세계 최고의 건축물 <수원화성> 남자MC) 아유 아주 많이 배웠습니다.오늘 그런데 그림을 또 한 장 가지고 나오셨네요? 임혁필) 네 여기 그 수원 화성을 자막> 임혁필 인물> 임혁필 임혁필) 이렇게 둘러보니까 또 숨겨진 뒷이야기들이 있어요 그래서 여기 어딘지 아십니까 보면은? 여자MC) 아까 나왔던 정자 아닌가요? 임혁필) 맞습니다. 방화수리정인데요 여기에 비밀이 하나 있습니다. 여자MC) 어떤거요? 임혁필) 이 비밀이 남자MC) 정자가 정자죠 임혁필) 네 여기 보면 정조 대왕이 앉아있는데 여기를 따뜻하게 온돌로 해서 숯불로 불을 데운거에요 여자MC) 밑에서요? 임혁필) 네 여자MC) 우와 임혁필) 그런 시설이 되어 있어요 여자MC) 그러면 당시에 정말 요즘같은 자동차 열선시트가 완성이 된거네요? 임혁필) 맞습니다. 네 자 그리고 또 하나 그림을 한 장 더 보면은 네 어휴 우리 남자MC) 저거 갈비? 임혁필) 네 갈비를 뜯고 있어요 여자MC) 수원이 갈비로 유명하잖아요 임혁필) 그렇죠 또 정조 대왕님은 그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담겨져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 보면은 갈비를 뜯고 있는데요 정조는 수원을 자립기반을 갖춘 도시로 육성하기 위해 농민들에게 종자와 소를 나눠줬다고 해요 그래서 소가 늘어나자 이 자연히 큰 우시장이 형성되면서 수원하면 갈비 할 정도로 소갈비가 유명해진거죠 남자MC) 정조는 백성을 사랑하셨는데 임혁필씨는 우리를 사랑하지 않으시네요 임혁필) 하하하하 여자MC) 아무튼 뒷이야기를 들어보니 재미있네요 남자MC) 네 갈비 이야기가 아주 인상적이었어요 감사합니다. 임혁필) 아니 문화재 열심히 설명했는데 갈비만 기억하시는군요 하하 네 맞습니다. 내고향 문화재는 이렇게 다양한 이야기가 담겨져 있는데요 다음주에도 내고향 문화재 기대해주십시오 남자MC) 네 감사합니다. 여자MC) 네 다음주 기대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