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이미지 | 저작권정보 | ||
---|---|---|---|
저작권자 | |||
전자자원소장처 | |||
공공누리 저작권 |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
CCL 정보 | |||
소스코드 |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605002-014-V00002?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N2R)
번호 | 파일명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1 | EBS 문화유산코리아_문화유산여행길_14편 145년만의 귀환 강제개항과 문화재수탈_마스터_CHF_1920X1080.mp4 | 179.84 MB |
![]() |
콘텐츠 기본 정보(N2C)
UCI | I801:1605002-014-V00002 | ||||||||||||||
---|---|---|---|---|---|---|---|---|---|---|---|---|---|---|---|
제목 | 문화유산여행길 14편 145년만의 귀환 강제개항과 문화재수탈 | ||||||||||||||
콘텐츠 유형 | 동영상 | 언어정보 | 국문 | ||||||||||||
생산자 정보 |
|
||||||||||||||
기여자 정보 |
|
||||||||||||||
기술 정보 |
|
||||||||||||||
관련 키워드 | ;랑스;한국;외규장각 의궤;인천 강화도;갑곶돈;병인양요;흥선대원군;삼랑성;양헌수;승전비;초지진;신미양요;광성보;신미양요순국무명용사비;신미순의총;국립중앙박물관;세한도;고려나전경함;경천사 십층석탑; | ||||||||||||||
요약 정보 | 마스터 | ||||||||||||||
내용 | 145년만의 귀환 2011년 돌아온 조선의 기록 외규장각 의궤 강화에서 벌어진 신미양요와 병인양요 침략과 문화재 수탈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곳 강화도로 의미 있는 여행을 시작합니다. |
||||||||||||||
대본 정보 | 1. 프롤로그 #비행기에서 내리는자막> 2011년 4월 #외규장각 의궤 도서 상자자막> 프랑스에서 한국으로 돌아온 297권의 도서 자막> 외규장각 의궤 #외규장각 의궤 공개된 모습자막> 145년만의 귀환 2. 타이틀 문화유산 여행길 – 145년만의 귀환, 강제 개항과 문화재 수탈 인천 강화도 3. 지도인천 --> 강화도 4. 갑곶돈 #강화 바다와 숲NA> 바다와 숲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곳, 강화. #갑곶돈전경하지만 고요한 모습과는 달리 강화 곳곳에는, 개항을 원하는 서구열강들과의 전투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갑곶돈 역시, 그런 곳 중 하나입니다. #갑곶돈 포대 모습자막> 갑곶돈(사적 제 306호) 강화해협을 지키기 위한 포대시설로, 1866년 프랑스군이 갑곶돈에 상륙 #갑곶돈에서NA> 쇄국정책을 펼쳤던 흥선대원군이 프랑스 선교사 9명을 #프랑스군 쳐들어온 사진학살했고, 그 사건을 빌미로 프랑스는 개항을 요구했습니다. #외국군 배 사진하지만 조선이 개항에 응하지 않자, 병인양요가 벌어지게 됩니다. 자막> 병인양요(丙寅洋擾) 1866년(고종 3년)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에 대한 보복으로 프랑스군이 침입한 사건 #바다, 갑곶돈 NA> 갑곶돈은 조선군과 프랑스군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격전지였습니다. 5. 삼랑성 #삼랑성 모습NA> 단군의 세 아들이 성을 쌓았다 하여 삼랑성이라 이름 붙여진 이곳도 프랑스군과 전투가 있었던 곳입니다. 자막> 삼랑성(사적 제 130호) 정족산성이라고도 불리우며, 성 길이는 2,944m #양헌수 장군, 포수와 프랑스군의NA> 당시 양헌수 장군이 이끈 조선군은 전투 모습 (삽화)프랑스군을 크게 이겼고, 이 전투를 계기로 프랑스군은 강화를 떠나기로 합니다. 자막> 양헌수(1816~1888) 장군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병인양요 때 강화도 삼랑성에서 프랑스군을 격파 #양헌수 승전비자막> 양헌수 승전비(인천시 기념물 제36호) #삼랑성 남문에서 NA> 이곳에 와보니, 프랑스군에 맞서 용맹하게 싸우던 조선군의 모습이 눈에 보이는 듯 합니다. 6. 지도 삼랑성 -> 초지진 7. 초지진 #초지진NA>한양과 가까웠던 강화에는 적의 침입이 많아 곳곳에 요새를 구축했는데요. #초지진 모습자막> 초지진(사적 제 225호) 해상으로부터 침입하는 외적을 막기 위하여 구축한 요새 #깃발 나부끼는 #바다와 초지진 쭉 따라가는NA> 둘레가 500미터 정도인 초지진은 해상으로 침입하는 적을 막기 위해 구축한 것으로, #쭉 따라가다가 포탄자욱지금도 곳곳에는 적들이 남긴 포탄 자욱이 그대로 있습니다. #전투 이미지+삽화NA> 프랑스가 물러가고 잠잠했던 강화에 또다시 외세가 침입한 것은 1871년. 조선을 개항시키려 했던 미국이 침략하면서 신미양요가 벌어지게 됩니다. 신미양요 1866년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와 행패를 부리던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호가 불타버린 사건을 빌미로, 1871년 조선을 개항시키려고 미국이 무력 침략한 사건 #포탄자국 다시NA> 신미양요 당시, 미군이 처음 발을 디뎠던 초지진. 전투가 남긴 흔적은 역사의 아픈 상처가 되어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습니다. 8. 광성보 #광성보NA> 신미양요 당시 가장 치열한 싸움이 벌어졌던 곳, 광성보로 향했습니다. 이곳에는 나라를 지키기 위해 싸웠던 용사들의 무덤이 있는데요. 자막> 광성보(사적 제 227호) 신미양요 때 가장 치열했던 격전지 고려시대의 외성을 조선시대에 보수한 후 광성보 설치 #신미양요순국무명용사비NA> 외세의 침입에 맞서 물러서지 않았던 #신미순의총용사들의 무덤 앞에서, 잠시 생각에 잠깁니다. 자막> 신미양요순국무명용사비 자막> 신미순의총(辛未殉義塚) 조선말 무명용사들의 무덤 #무덤 이미지NA> 당시 용맹하게 싸웠던 조선군의 모습을 보며 적군이었던 미 해병대는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습니다. #강화도 바다 이미지 위에 자막 자막>“1871년의 조선원정은 미국 해군 역사상 최초의 실패전이다. 우리는 물리전에서는 이겼다. 그러나 정신전에서는 졌다” #자막 빠지고 바다 출렁이는NA> 적군마저 숙연하게 만들었던, 조선군의 결의를 떠올리며 가슴 뜨거워짐을 느낍니다. 전쟁은 오래전, 끝이 났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상처는 남아 있습니다. 9. 지도광성보 -> 외규장각NA> 조선을 침략한 그들이 우리의 소중한 보물을 약탈해 갔기 때문인데요. 비운의 장소인 외규장각으로 향합니다. 10. 외규장각 #외규장각 정면 모습NA> 외규장각은 정조가 강화에 설치하여 왕실 서적 6000권 가량을 보관했던 곳입니다. #외규장각 현판 #외규장각 내부 전시실 이미지 자막> 외규장각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1782년(정조 6년) 강화도에 설치한 도서관으로, 규장각의 부속 도서관 #외규장각 주변 프랑스인들 삽화NA>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은 강화를 떠날 때 수천 권의 책을 #책 불 태우는 이미지, 없으면 삽화불태우고, 귀중품들과 외규장각 도서들을 약탈해 갔는데요. 그들이 약탈한 책들 중에는 의궤, 297권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기록화 장면 자막>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 기록화 자막> 의궤 조선시대 왕실이나 국가의 주요 행사 내용을 기록해 놓은 책 #빨간 옷 그림 나오면NA> 우리는 민족의 보물인 의궤를 도난 당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습니다. 11. 외규장각 의궤 반환 #프랑스 이미지NA> 1975년, 고 박병선 박사가, 프랑스 국립도서관 베르사유 #도서관 지하 이미지 따라가는별관의 지하에서 외규장각 의궤를 찾아내면서 의궤의 존재가 세상에 알려지게 됩니다. 하지만 빼앗긴 #프랑스와 반환요청 신문기사 등우리의 문화재를 되찾아 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외규장각 의궤 비행기에서 내리는NA> 20여년의 반환협상 끝에 2011년, #외규장각 도서 펼쳐지는의궤는 이 땅을 떠난지 145년 만에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외규장각 도서, 반은 책, 반은 자막 자막> 2011년,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의궤 그림들NA> 하지만 완전한 귀환은 아니었습니다. 자막> 소유권은 프랑스가 갖고 5년마다 대여기간 연장 12. 지도외규장각 -> 국립중앙박물관 13.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NA> 아직도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우리의 문화재들이 많습니다. 자막> 국립중앙박물관 #여러가지 유물, 문화재들 이미지 #구경하는 관람객들 모습NA>이곳 국립중앙박물관에는 해외로 불법 반출되었다가 되찾은 문화재들이 보관되어 있는데요. #세한도 NA> 귀양살이의 고된 심경을 담아낸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와 자막> 세한도(국보 제180호) 추사 김정희가 제주도에서 귀양살이를 하던 때에 제자 이상적에게 그려 보낸 그림으로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반환 됨. #고려나전경함NA> 불교 경전을 넣어두는 ‘고려나전경함’ **어디서 확인해야 할까요?자막> 고려나전경함 **빼면 어떨까요?고려시대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불교경전을 넣어두는 함. #경천사 십층석탑NA> 고려시대에 세워진 ‘경천사 십층석탑’ 도 되찾은 우리의 문화재입니다. 자막> 경천사 십층석탑 (국보 제 86호) 고려 충목왕 4년(1348)에 세워진 고려 시대 석탑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반환 됨 #문화재들NA> 오늘도 강화의 바다는 잔잔합니다. 하지만 강제로 조선을 개항하려 했던 서구 열강들 때문에, 이곳은 아픈 역사의 현장이 되었습니다. 11. 에필로그 #잔잔한 바다NA> 민족의 삶과 정신이 담긴 우리의 문화재를 지켜내기 위해선, 소중함을 깨닫고 관심을 기울여야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강화도 풍광, 항공샷NA> 강제개항과 문화재 수탈의 역사를 되돌아 볼 수 있는 강화... 이곳으로 의미있는 여행을 떠나보는건 어떨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