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이미지 | 저작권정보 | ||
---|---|---|---|
저작권자 | |||
전자자원소장처 | |||
공공누리 저작권 |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
CCL 정보 | |||
소스코드 |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610003-002-V00013?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N2R)
번호 | 파일명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1 | 교과서속문화유산_제주_ 서귀포층패류화석산지_마스터_CHF_1920X1080.mp4 | 36.95 MB |
![]() |
콘텐츠 기본 정보(N2C)
UCI | I801:1610003-002-V00013 | ||||||||||||||
---|---|---|---|---|---|---|---|---|---|---|---|---|---|---|---|
제목 | 교과서 속 문화유산 - 제주 서귀포층 패류 화석산지 | ||||||||||||||
콘텐츠 유형 | 동영상 | 언어정보 | |||||||||||||
생산자 정보 |
|
||||||||||||||
기여자 정보 |
|
||||||||||||||
기술 정보 |
|
||||||||||||||
관련 키워드 | ;주도;조개화석;화석;패류;화석산지;고래화석;상어화석; | ||||||||||||||
요약 정보 | 마스터 | ||||||||||||||
내용 | 1968년 5월 23일 천연기념물 제195호로 지정되었다. 서귀포층은 서귀포시 남서 해안의 높이 약 50m 절벽에 있다. 절벽에는 두께 약 40m인 퇴적암층이 노출되어 있고 현무암으로 덮여 있다. 서귀포층은 주로 회색 또는 회갈색을 띤 역질사암, 사암, 이암, 셰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곳곳에 화석이 들어 있지만 특히 패류화석대 3장이 뚜렷하다. 이 화석대에서는 조개화석을 주로 한 동물화석이 많이 나온다. 여기서 관찰되는 패류화석은 대체로 현생종이지만, 대부분 제주도 근해보다 더 따뜻한 남쪽 바다에서 발견된다. 서귀포층에서 발견된 화석으로는 부족류 31속 41종, 복족류 13속 14종, 굴족류 1속 4종, 완족류 6속 14종, 극피동물 여러 종, 산호화석, 고래와 물고기 뼈, 상어 이빨 등 흔적화석이 있으며, 미화석으로는 유공충 49속 91종 등이 있다. 이러한 화석으로 보아 지질시대는 신생대 제3기 말엽인 플라이오세로 추정된다. 서귀포층은 제주도의 화산층 중에서 가장 밑에 있는 지층으로, 지상에는 서귀포 해안 이곳 수평거리 약 100m 구역에서만 나타난다. 따라서 지질학적으로 제주도의 형성과정을 밝혀 나가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 ||||||||||||||
대본 정보 | 화산섬 제주 남서 해안 절벽을 장식한 바다생물의 화석들 제주 서귀포층 패류화석 산지/ 천연기념물 제195호 200∼300만 년 전 화석생물과 함께 쌓여 형성 이후 100m 정도 솟아올라 파도에 깎이면서 절벽으로 변화 알알이 박혀있는 조개들 달팽이·전복·우렁이 등의 복족류 성게·해삼·불가사리 등의 극피동물 산호, 고래 뼈, 상어 이빨까지 다양하게 발견되는 해양생물들의 화석 더 따뜻한 남쪽바다에서 발견되는 많은 조개화석들 이들은 당시의 바다가 지금보다 따뜻했음을 말해주는 흔적 돌이 되어 영원한 생명을 얻은 화석들 제주 서귀포층 패류 화석산지에는 300만 년 전 제주바다 이야기가 고스란히 묻혀있습니다. 제주 바다는 오늘도 수많은 생명을 품은 채 시간의 흔적을 만들어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