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이미지 | 저작권정보 | ||
---|---|---|---|
저작권자 | 문화재청 | ||
전자자원소장처 | 한국문화재재단 | ||
공공누리 저작권 |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
CCL 정보 | |||
소스코드 |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2007002-006-V00008?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N2R)
번호 | 파일명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1 | 아름다운 자연유산 숨결_살아있는 자연생태계의 보고, 독도천연보호구역_CHF_3840X2160.mp4 | 63.40 MB |
![]() |
콘텐츠 기본 정보(N2C)
UCI | I801:2007002-006-V00008 | ||||||||||||||||||
---|---|---|---|---|---|---|---|---|---|---|---|---|---|---|---|---|---|---|---|
제목 | 살아있는 자연생태계의 보고, 독도천연보호구역 | ||||||||||||||||||
콘텐츠 유형 | 동영상 | 언어정보 | 국문 | ||||||||||||||||
생산자 정보 |
|
||||||||||||||||||
기여자 정보 |
|
||||||||||||||||||
기술 정보 |
|
||||||||||||||||||
관련 키워드 | 독도;동해바다;동해섬;화산섬;천연기념물 | ||||||||||||||||||
내용 | 독도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336호)은 동도와 서도 외 89개의 부속도서로 이루어져있으며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습니다. 독도천연보호구역은 화산섬 고유의 식생을 갖춘 생태적 보고, 울릉도・독도 자생 한국특산종이 다수 보존되어 있어 살아있는 자연생태계의 보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 | ||||||||||||||||||
대본 정보 | 장소>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자막> 독도 생명을 담다. 자막> 독도천연보호구역 (천연기념물 제336호) 동도와 서도 외 89개의 부속도서로 이루어진 섬.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다 자막> 서도 해발 168.5m(대한봉), 둘레 2.6km, 정상부가 험준한 원추형의 바위섬. 자막> 동도 해발 98.6m(우산봉), 둘레 2.8km, 중앙부가 해수면까지 꺼진 형태의 섬. 자막> 화산섬 고유의 식생을 갖춘 생태적 보고, 독도에 서식하는 식물 약 60종. 자막> 술패랭이꽃 6월초 개화, 독도의 여름을 알리는 여러해살이풀. 자막> 섬괴불나무 5~6월에 꽃이 피는 울릉도・독도 자생 한국특산종. 자막> 섬초롱꽃 종모양의 꽃이 피는 을릉도・독도 자생 한국특산종, 자막> 섬기린초 산기슭 바위틈에 자라는 울릉도・독도 자생 한국특산종. 자막> 돌피 독도를 거쳐 가는 철새에 소중한 먹이자원이 되는 식물. 자막> 사철나무 독도에서 생육하는 수목 중 가장 오래된 나무. 자막> 왕호장근 서도의 물골 사면에 주로 서식하는 여러해살이풀. 자막> 왕해국 독도의 가을을 연보랏빛으로 물들이는 여러해살이풀. 자막> 숨, 생명을 품은 동해의 심장. 결, 살아있는 자연생태계의 보고. 독도는 우리의 소중한 자연유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