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진흥원 국가유산 콘텐츠 검색 서비스


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
대표이미지 저작권정보
저작권자 국가유산진흥원
전자자원소장처 한국문화재재단
공공누리 저작권
제3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CCL 정보
소스코드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2204007-001-V00011?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N2R)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
번호 파일명 파일크기 다운로드
1 출동 문화재 현장 11편_동궐도와 함께하는 창덕궁 나무답사_CHF_1920X1080.mp4 243.97 MB 다운로드

콘텐츠 기본 정보(N2C)

콘텐츠 기본 정보
UCI I801:2204007-001-V00011
제목 동궐도와 함께하는 창덕궁 나무답사
콘텐츠 유형 동영상 언어정보 국문
생산자 정보
생산자 정보
생산자 생산일자
한국문화재재단 2022-12-09
기여자 정보
기여자 정보
역할 정보 기여자 명
제작사 화수분미디어
기술 정보
기술 정보
기술 영역 기술 내용
기타정보
내용정보 사적 창덕궁
내용정보_신규
역사정보 조선시대
역사정보_시대국가
인물정보
지리정보 서울시 종로구
관련 키워드 창덕궁;동궐동
내용 1823~30경 궁궐에 소속된 화원들이 창덕궁과 창경궁을 조감도 식으로 그린 동궐도.

이 그림에는 먹과 채색물감으로 궁궐의 건축물, 연못, 괴석 등을 비롯해
3천여 그루의 수많은 나무가 비교적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고려대학교와 동아대학교에 각각 한점씩 소장 되어 있는 동궐도를 통해 창덕궁을 이야기를 합니다.
대본 정보 #1. 창덕궁, 1405년 조선 왕조의 이궁으로 지은 궁궐

#2. 조선시대 궁궐 중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곳

#3.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동궐도와 함께하는 창덕궁 나무답사

#4. 나무 이야기와 함께하는 창덕궁

#5. 동궐도에 나오는 나무를 중심으로 둘러보는 창덕궁
#6. 동궐도, 1828~30경 궁궐에 소속된 화원들이 창덕궁과 창경궁을 조감도식으로 그린 그림. 이 그림에는 3천여 그루의 나무가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7. 돈화문, 1412년(태종12)에 건립되었으나 임진왜란때 전소된 후 광해군 때 재건하였다. 현존하는 궁궐의 대문중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8. 돈화문 회화나무, 중국 주나라 때 조정에 회화나무 세 그루를 심어 삼공의 자리로 삼고 정사를 논했다는 예에 따른 것.

#9. 금천교 능수버들, 동궐도에 버드나무가 많은 곳은 물이 있는 곳.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버드나무를 심음.

#10. 인정전, 창덕궁의 정전으로 왕의 즉위식을 비롯해 혼례, 세자책봉식 그리고 문무백관의 하례식 등 중요한 국가공식 행사가 열린 곳

#11. 인정전 오얏꽃, 오얏꽃은 대한제국 황실 문양으로 동궐도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12. 창덕궁 후원, 왕실의 휴식공간으로 자연과 인공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대표적인 한국정원.

#13. 창덕궁 후원, 창덕궁의 2/3 규모

#14. 영화당 느티나무, 그림에 자리를 할애해 줄 만큼 중요한 위치

#15. 주합루 취병, 나무를 심어 만든 생울타리 담장


#16.관람지 뽕나무, 농사와 양잠을 장려했던 조선시대,
왕의 친경례와 더불어 왕비의 친잠례를 통해 왕실 스스로 모범을 보였다.

#17 관람지 밤나무, 종묘 제례를 비롯한 제사상에 반드시 올리는 중요한 과일

#18. 현재 하나의 연못이지만 동둴도에는 세개의 연못으로 나눠져 있어

#19. 존덕정 은행나무, 서원이나 향교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공자가 행단에서 제자를 가르쳤다는 고사에서 유래. 정자를 찾아 학문에 정진하던 세자의 모습을 그려 볼 수 있다

#20. 선원전 향나무, 제사 때 향을 피우기 위한 것으로 향나무 동쪽에 있는 선원전(왕의 초상화 ‘어진’을 모시던 곳)의 공간적 성격을 대변하는 나무

#21. 계절마다 주인공이 다른 창덕궁

#22. 궁과 나무의 이야기, 창덕궁에서 해설사와 함께 하면 더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