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이미지 | 저작권정보 | ||
---|---|---|---|
저작권자 | 국가유산진흥원 | ||
전자자원소장처 | 한국문화재재단 | ||
공공누리 저작권 |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
CCL 정보 | |||
소스코드 |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2205002-001-V00016?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N2R)
번호 | 파일명 | 파일크기 | 다운로드 |
---|---|---|---|
1 | 이미지문화유산_8화_세조를 기리는 천년고찰-봉선사의 사계_CHF_1920X1080.mp4 | 75.39 MB |
![]() |
콘텐츠 기본 정보(N2C)
UCI | I801:2205002-001-V00016 | ||||||||||||||||||
---|---|---|---|---|---|---|---|---|---|---|---|---|---|---|---|---|---|---|---|
제목 | 봉선사의 계절을 담은 사찰음식의 사계 | ||||||||||||||||||
콘텐츠 유형 | 동영상 | 언어정보 | 국문 | ||||||||||||||||
생산자 정보 |
|
||||||||||||||||||
기여자 정보 |
|
||||||||||||||||||
기술 정보 |
|
||||||||||||||||||
관련 키워드 | 문화유산;사계;봉선사 | ||||||||||||||||||
내용 | 세조를 기리는 천년고찰-봉선사의 사계 A temple with a thousand years of history, commemorating King Sejo Four Seasons of Bongsunsa Temple |
||||||||||||||||||
대본 정보 | 경기도 남양주시 Namyangju-si, Gyeonggi-do 봉선사 고려 광종(969년)때 세워진 천년 고착. 1469년 세조의 비였던 정희왕후가 세조의 명복을 빌고자 광릉(세조의 능) 근처에 있는 봉선사를 왕실사찰로 지정. 왕실 림인 광릉 숲에 둘러 싸여 있음. Bongsunsa Temple A thousand year of being rooted since reign of King Gwangjong of Goeryeo(969). Queen Jeonghee, consort of King Sejo, designated Bongseonsa Temple near Gwangneung (Sejo's tomb) as a royal temple to pray for the repose of King Sejo in 1469. 광릉숲 조선시대 왕들의 사냥터였으며 세조의 능이 자리한 뒤 조선 왕실림으로 지정. 이후 560년간 철저하게 보호해 생물 다양성의 보고가 됐으며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선정 세조를 기리는 천년고찰 Gwangneung Forest A hunting ground for the kings of the Joseon Dynasty and was designated as a royal forest of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tomb of King Sejo was located. Since then, thoroughly protected for 560 years and has become a report of biodiversity, and was selected as a UNESCO Biosphere Reserve in 2010. 광릉숲 비공개구간 Gwangneung Forest Non-disclosure area 노랑어리연 늦은 봄, 이른 가을, 한 해 두 번 꽃을 피움 Yellow floating heart It blooms twice a year in the late spring and early autumn 큰 법당 / 국가등록문화재 국내 사찰 유일한 한글 편액. 독립운동가이자 평생 불경을 한글로 번역해 온 운허스님이 한국전쟁으로 소실된 대웅전을 복원하며 큰 법당이라 이름을 붙임 Big Buddhist sanctuary /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The only signboard written in Korean among temples in Korea. Unheo, a Buddhist monk, who was the independent movement activist and translated Buddhist scriptures into Korean throughout this entire life named it a Big Hall after the Main Hall, which was completely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was restored 광릉 /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 7대 세조와 정희왕후 윤씨의 능. 같은 산줄기에 왼족에는 세조, 오른쪽에는 정희왕후의 능을 모심 Gwangneung Royal Tombs / UNESCO World Heritage The royal tomb of King Sejo, the 7th of Joseon Dynasty and Queen Jeonghui. Along the same mountain range, the tomb of Kin Sejo is on the left, and the tomb of Queen Jeonghui is on the right. 봉선사 대종 / 보물 세조의 명복을 빌기 위해 1469년 정희왕후의 명으로 주조된 종으로 임진왜란 이전에 만들어진 조선 시대 종 가운데 걸작으로 알려짐 bell of Bongsunsa Temple / Treasure The bell was cast by the order of Queen Jeongui in 1496 to pray for King Sejo’s rest in peace. The bell is known as one of the masterpieces of bells made during Joseon Dynasty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유화 스님 / 봉선사 Buddhist monk Yoo Hwa / Bongsunsa Temple 머위 꽃, 잎, 줄기, 뿌리 등을 식용 또는 약용하는 국화과 자생 식물 Butterbur An indigenous plant of the Asteraceae family whoes flowers, leaves, stems and roots are used of food or medicine 여름 사찰음식 사찰 주변에서 자생하는 약용식물을 활용해 만든 여름철 보양식 Temple food in summer Food made of indigenous medicinal plants that grow aroun the temple to boost energy in summer 노각국수 Noddle with overripe cucumber 머위잎 쌈밥 Rice with butterbur leaf wraps 머위잎 쌈밥과 머위줄기 들깨탕 Rice with butterbur leaf wraps and perilla soup with butterbur stems 수련 졸음 수 연꽃 련(연). 밤이 되면 잎이 오므라들어 잠자는 꽃이라는 뜻 Water lily It means sleepy lotus. The name comes from its characteristic that its leaves close at night 연꽃 여름철에 꽃이 피며 뿌리와 줄기에서 수질 정화 작용을 함. 불교 정신을 대표하는 식물 Lotus It blooms in summer and its roots and stems purify water. It is the plant that represents the spirit of Buddhism 세조를 기리는 천년고찰. 봉선사의 사계 A temple with a thousand years of history, commemorating King Sejo Four Seasons of Bongsunsa Temp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