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진흥원 국가유산 콘텐츠 검색 서비스


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
대표이미지 저작권정보
저작권자 국가유산진흥원
전자자원소장처 한국문화재재단
공공누리 저작권
제3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CCL 정보
소스코드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2206001-002-V00021?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N2R)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
번호 파일명 파일크기 다운로드
1 썬킴의 이런(e-learn) 역사이야기 21화_금속활자_CHF_1920X1080.mp4 265.68 MB 다운로드

콘텐츠 기본 정보(N2C)

콘텐츠 기본 정보
UCI I801:2206001-002-V00021
제목 금속활자
콘텐츠 유형 동영상 언어정보 국문
생산자 정보
생산자 정보
생산자 생산일자
한국문화재재단 2022-11-30
기여자 정보
기여자 정보
역할 정보 기여자 명
제작사 OBS경인티브이(주)
기술 정보
기술 정보
기술 영역 기술 내용
기타정보
내용정보
내용정보_신규
역사정보 조선시대
역사정보_시대국가
인물정보 세종대왕
지리정보 서울 인사동
관련 키워드 인사동 항아리;인사동;동국정운식 활자;계미자;갑인자;조선왕조실록;직지;복;고려시대 유물;훈민정음;정운식
내용 2021년 서울 도심 한복판, 오피스 건물 공사현장에서 조선전기 금속활자 1,600여 점이 발굴된다.
특히 훈민정음 창제 시기에만 사용됐던 한글 활자가 발견돼 활자를 연구하는 중요한 사료가 됐는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관련 유물인 고려시대 ‘직지심체요절’등에 가려 조선의 활자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게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선의 금속활자가 발달하면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조선왕조실록’ 과
각종 서적 편찬 사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대본 정보 썬킴의 이런(e-learn) 역사이야기

금속활자

[자막/강조말] 일본과 중국에는 남아 있는 게 없다?

썬킴/ 이웃나라 일본과 중국에 남아 있는 게 별로 없어요. 그쪽에는요.

[자막/센말] 중국?? 단 1점도 남아있지 않아요! / 무엇이??

썬킴/ 중국 단 한 점도 남아 있지가 않습니다.

[자막/센말] 일본에는 2~3만 개 정도가 남아있고 / 대체 무엇이??

썬킴/ 일본 같은 경우에는 2만 개에서 3만 개 정도 남아 있는데 우리나라는.

[자막/센말] 우리나라에는 50만 개나 남아있는 이것은?

썬킴/ 50만 개가 남아 있어요.

[자막/강한말] WOW!

썬킴/ 와우!

[자막/재미말] 역사 여기까진 몰랐지~!

썬킴/ 역사 여기까진 몰랐지.

[자막/재미말] 몰랐던 역사 궁금했던 역사와 함께 하는 썬킴의 이런 역사이야기

썬킴/ 몰랐던 역사 궁금했던 역사와 함께 하는 썬킴의 이런 역사이야기.

[자막/네임자막] 썬킴

썬킴/ 안녕하십니까? 썬킴 인사드리겠습니다. 2021년도 종로2가 탑골공원 건너편 우리가 이제 피맛골이라고 알고 있는.

[자막/상황] 2021년 서울 종로 도심 한복판 오피스 건물 공사현장

썬킴/ 오피스 건물 공사현장에서.

[자막/강조상황] 600년 만에 깨어난 조선전기 금속활자 1,600여 점

썬킴/ 조선전기 금속활자가 무려 1,600여 점이 와르르르.

[자막/의성어] 와르르~~ 와르르~~

썬킴/ 발굴됐습니다. 어마어마하죠. 특히 여기에는.

[자막/강조상황] 훈민정음 창제 시기인 15세기에만 사용되던 동국정운식 표기법이 새겨진 활자가 발견

썬킴/ 훈민정음 창제 시기에만 사용됐던 한글 활자가 발견되어 가지고 활자를 연구하는 정말 중요한 자료로 지금 사료되고 있는데 자, 긴 설명 필요가 없습니다. 관련 영상 보시죠.

[자막/상황] 2021년 6월, 서울 도심 한복판 인사동에서 발견된 항아리.
세종 16(1434년) 갑인년에 만든 갑인자 추정 활자.
세조 1(1455년) 을해년에 만든 을해자 활자.
인사동에서 발굴된 금속활자는 조선 전기 인쇄본과 활자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사료.
금속활자의 역사는 조선보다 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니...
실물과 기록이 남아있는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
원본은 프랑스 국립 도서관이 소장 / 직지심체요절.
선광 7년(1377년), 정사 7월 –간행 시기-
청주목의 흥덕사 –간행 장소-
주자인시 –간행 방법-
스승인 백운 화상이 펴내려던 불교의 가르침을 제자들이 간행한 것.
고려시대, 작은 사찰까지 확산된 금속활자 인쇄술.
고려부터 조선까지 찬란한 금속활자 역사 새로 발굴된 금속활자에는 또 어떠한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요?

자막> 기록의 나라 조선이 가능했던 이유 금속활자

썬킴/ 조선왕조실록을 우리가 아주 지금도 편하게 볼 수 있게 만들어준 그런 주인공 금속활자입니다. 금속활자, 이제 활자가 여러분 무슨 한자인지는 아시죠?

[자막/상황] 活 살 활, 字 글자 자
썬킴/ 펄떡펄떡 뛰다 할 때 활 자고 글자 자예요. 활어 할 때 활.

[자막/강조상황] 활자 = 살아있는 글자

썬킴/ 말 그대로 이제 살아있는 글자다. 이거인데 일일이 손으로 쓰는 그런 불편함을 없애주고.

[자막/강조상황] 하나씩 따로 만들어놓은 활자를 내용에 맞게 배열해 찍은 뒤 다시 보관 사용 가능

썬킴/ 한 번 이 활자를 만들어놓으면 그냥, 그냥 위에서 찍어내면 되잖아요. 팍팍팍팍팍팍! 그런데 그 이전에는 이제.

[자막/상황] 금속활자 이전에 사용됐던 목판활자, 도자기활자

썬킴/ 목판활자도 있었고 도자기활자도 있었어요. 그런데 이거는 다른 점이 뭐냐 하면 나무로 만들고 도자기로 만들면 오래 못 가요.

[자막/강조상황] 금속활자 선조가 남긴 최고의 유산

썬킴/ 금속활자 이거는 정말 우리 민족이 남긴 선조가 남기신 유산 가운데 정말 넘버 원투 탑급이라고 저는 생각을 하는데 왜 그러냐면.

[자막/상황] 우리보다 훨씬 뒤진 일본과 중국의 금속활자

썬킴/ 이웃나라 일본과 중국에 남아있는 게 별로 없어요. 그쪽에는요. 중국, 중국에는 지금 뭐 활자로 찍어낸 서적은 많겠죠.

[자막/상황] 실물 금속활자는 단 1점도 없어요!

썬킴/ 실물 금속활자는 지금 단 1점도 남아있지가 않습니다. 중국은요. 일본 같은 경우에는 임진왜란 당시에 만들었던.

[자막/상황] 임진왜란 당시 약 2만~3만개의 금속활자 보존

썬킴/ 한 1만개에서 3만개 정도의 활자가 남아있는데 우리나라는.

[자막/강조상황] 조선의 금속활자는 무려 50만 개!

썬킴/ 조선 활자 금속활자는 무려 50만 개가 남아 있어요. 50만 개요.

[자막/재미강조말] WOW!

썬킴/ 와우! 그런데 문제는 이 활자 대부분이 이제.

[자막/강조상황] 대부분 조선 중, 후기에 만들어진 한자활자

썬킴/ 조선 중, 후기에 만들어진 보통 한자활자거든요.

[자막/강조상황+재미말] 다양한 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이룬 세종대왕 / 물론 다 위~~~대하죠!

썬킴/ 세종대왕의 여러 업적 가운데에서 위대.. 물론 다 한 업적이죠. 그 중에 이제.

[자막/3자강조] 갑인자.

썬킴/ 갑인자라는 금속활자를 만든 업적 정말 우리가.

[자막/재미] 리스펙! 리스펙!

썬킴/ 인정을 해드려야 하는데 문제는 뭐냐 하면.

[자막/강조말] 갑인자로 찍은 인쇄물은 남아있지만

썬킴/ 갑인자로 찍은 금속활자로 찍은 인쇄물은 남아있지만.

[자막/강조상황] 좀처럼 발견되지 않았던 꿈의 활자 갑인자

썬킴/ 실제 갑인자 활자 금속활자는 발견이 안 된 거예요. 그런데 이번에.

[자막/강조상황] 2021년 서울 인사동 공사현장에서 발견된 갑인자

썬킴/ 인사동에서 빵! 대박이 터진 거죠. 위치는 어디냐.

[자막/상황] 관아 창고로 추정되는 건물 아래 항아리에서 발견


썬킴/ 관아에 창고로 추정되는 건물 밑에서 발견됐어요. 항아리가, 처음에는요. 발굴에 참가했던 사람들의 말에 따르면 그냥.

[자막/재미말] 금속덩어리??

썬킴/ 금속덩어리인 줄 알았데요. 그냥 보니까 조그만 금속덩어리니까,
그런데 자세히 보니까 뭔가 글씨가 쓰여 있는 거야.

[자막/강조말+의성어] 공사장 진흙덩어리 씻어보니 / 아하하하하~

썬킴/ 이거를 씻어 보니까 아하하하하~ 조선 전기 때 만들었던.

[자막/강조상황] 조선 금속활자!

썬킴/ 금속활자인 것이 그때 발견된 거죠. 총 1,600여 점이 발견됐는데.

[자막/강조상황] 한자 금속활자 1,000여 점 / 한글 금속활자 600여 점

썬킴/ 1,000개 정도는 한자활자고 600여 점 정도는 한글활자였습니다. 세종대왕이 이제 훈민정음을 창제했을 당시에.

[자막/강조상황] 동국정운 1448년에 간행된 우리나라 최초의 표준음에 관한 책

썬킴/ 동국정운이라는 책을 만들었어요. 뭐냐면.

[자막/강조상황] 동국정운 훈민정음 창제에 반대하는 유학자들을 설득하기 위해 본보기로 펴낸 책

썬킴/ 당시 한글 창제를 반대했던 유학자들을 설득하기 위해 가지고 세종대왕이 만든 책이에요. 이거 여러분 기억하셔야 되는 게 저도 그렇게 배웠고.

[자막/강조말] 한글은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함께 만들었다.

썬킴/ 집현전 학자들 신숙주 등등등 같이 만들었다라고 배웠는데.

[자막/강한말] 놉!

썬킴/ 아니라니까요.
[자막/강한말] 집현전 학자들은 한글 창제에 전혀 참여하지 않았어요!

썬킴/ 집현전 학자들은 참여를 전혀 안 했어요.

[자막/센말] 몰랐어요!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들고 있다는 사실을!

썬킴/ 몰랐어요.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들고 있다는 사실을, 혼자 만들었어요. 물론 혼자 만든 게 아니라 나중에 이제 왕이 되는.

[자막/강조상황] 세자인 문종과 함께 만들어낸 훈민정음

썬킴/ 문종이 되는 세자와 함께 같이 만들었는데.

[자막/강한말]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들고 있다는 걸 집현전 학자들은 몰랐다??

썬킴/ 집현전 학자들이 몰랐다라는 증거가 뭐냐면 이제 세종대왕께서.

[자막/강조말] 세종 曰 훈민정음 만들었다! 짜잔! / 집현전 학자 曰 그걸 왜??

썬킴/ 나 훈민정음 만들었다. 주상전하 왜 만드시냐고.

[자막/강조상황] 한글창제에 반대한 집현전 학자들의 반대 상소

썬킴/ 집현전 학자들이 반대 상소 막 올린 거예요.

[자막/센말] 즈~~언~~하!!!

썬킴/ 전하! 실제로 이런 말 했다니까요. 우리가 오랑캐가 되려고 그러십니까?

[자막/강조말] 문자 창안은 오랑캐와 같아지는 행위가 된다. 한자가 있으니 따로 문자를 만들 필요가 없다. 문명국인 중국이 쓰는 한자만 사용해야 한다.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문>中-

썬킴/ 오랑캐들은 작가 오랑캐의 문자들이 있었잖아요. 만주어 등등등등등, 우리도 독자적인 한자 안 쓰고 독자적인 문자를 만든다는 건 우리 스스로 오랑캐가 되려고 그러는 겁니까? 전하! 라고 하면서.

[자막/강조상황] 한글 창제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린 집현전의 수장 최만리

썬킴/ 최만리라는 집현전 대표 학자가 이거를 반대했어요. 그 말은 뭐냐 하면 집현전 대표 학자인 최만리 선생이 그거를 몰랐다 그러면 나머지 집현전 학자들은 당연히 몰랐던 거예요.

[자막/강조상황] 세종은 훈민정음 창제에 반대하는 유학자들을 설득하기 위해 동국정운 간행

썬킴/ 동국정운은 이런 최만리 같은 학자들을 설득하기 위해 봐라. 봐라. 이거를.

[자막/재미] 유학자 설득 중인 세종;;

썬킴/ 불쌍한 백성들을 위해서 내가 만들었다라고 설득하기 위해서 만든 건데.

[자막/강조상황] 훈민정음 창제 초창기에 중국 한자를 표준음에 가깝게 발음하려고 고안된 동국정운식 표기 한글

썬킴/ 그때 썼던 한글활자가 동국정운체라는 한글활자거든요. 이게 여기에서 나온 거예요.

[자막/상황] 15세기에 한정해 사용한 한글인 ‘ㅱ, ㅸ, ㆆ, ㆅ’ 등의 활자들이 출도

썬킴/ 아까 보신 거와 같이 연주활자라고 하는데 조사라고 하잖아요. 나는 너를 우리가 우리에게 에게, 에게, 를, 를 이런 조사들 이거를 일일이 다 활자를 넣기에는 귀찮잖아요. 우리, 우리 함께 함.. 함 찾고 께 넣고 하기 귀찮기 때문에.

[자막/상황] 두 글자를 하나의 활자에 표기하여 연결하는 어조사의 역할을 한 연주활자도 10여 점 출토

썬킴/ 함께를 두 자를 붙여 가지고 넣으면 되니까 이것까지 발견이 된 거예요. 특히.

[자막/좌상단 주제자막] 최고 품질의 금속활자 갑인자 발굴

썬킴/ 이번 발견에서 정말 의미가 깊은 것이 뭐냐 하면 갑인자라고.

[자막/강조상황] 독보적 가치, 최고의 활자 갑인자

썬킴/ 최고의 퀄리티의 금속활자였어요. 다시 한 번 강조해드리지만.

[자막/강조상황] 최초 금속활자는 고려 때 만들어졌지만 체계화되지 못한 한계

썬킴/ 금속활자라는 것은 고려시대 때도 있었어요. 있었지만 중구난방 식으로
만들었거든요. 하지만.

[자막/강조상황] 조선 최초의 금속활자를 제작한 태종

썬킴/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처음으로 금속활자를 만든 것은 태종 이방원이었어요.

[자막/강조상황] 주자소 활자를 만들어 책을 찍어내던 관청

썬킴/ 주자소라는 관청을 만들어 가지고 여기서 공식적으로 금속활자를 찍어내자라고 찍어낸 것이.

[자막/강조상황] 癸 열째, 천간 계 未 아닐 미 字 글자 자

썬킴/ 계미자라고 하는데 개미가 아니라 계미자. 계미년에서 만들었다. 그런데 주자소에서 이제 계미자로 찍어서 이제 인쇄본을 만들어보니까.

[자막/상황] 고려시대 목판본들과 비교해 품질 면에서 별로 차이가 없었던 계미자

썬킴/ 그 전에 있었던 목판본과 비교해봤을 때 그다지 이게 퀄리티가 다른 점이 없었던 거예요.

[자막/재미] 고려 목판본이나~ 조선 계미자나~

썬킴/ 이거나, 이거나 뭐.. 아직까지 기술력이 그만큼 못 따라갔던 거죠. 그런데 여기에서 우리가 정말 점수를 드려야 될 것이 뭐냐 하면.

[자막/강조상황] 여기서 멈추지 않은 태종!

썬킴/ 태종도 그렇고 세종도 그렇고 포기를 안 했어요.

[자막/강조상황] 태종, 청동을 기반으로 하는 금속활자의 주조 강행

썬킴/ 그게 쇠로 만든 게 아니라 청동으로 만든 금속활자거든요. 이거는 이미 중국에서 시도를 하다가.

[자막/상황] 중국도 포기한 청동 금속활자

썬킴/ 이거는 정말 안 된다 해서 중국도 포기한 그런 방식이었어요. 청동으로 활자를 만드는 거를, 계미자 같은 경우에는 금속활자를 만든 다음에 고정을 뭘로 시키냐면.

[자막/상황] 활자 주조 후 밀랍으로 고정

썬킴/ 밀랍으로 고정을 했어요. 밀랍, 밀랍인형 만드는 밀랍.

[자막/재미] Q. 밀랍의 재료는? 갑자기? 퀴즈?

썬킴/ 퀴즈, 밀랍은 뭘로 만들까요?

[자막/재미말] 밀과 납으로...??

썬킴/ 벌집 있잖아요.

[자막/재미말] 밀랍은 벌집을 만들기 위해 꿀벌이 분비하는 물질!

썬킴/ 벌꿀 만드는 벌집을 녹여 가지고 가공해서 만든 거예요. 그러니까 사람 얼굴도
이렇게 정교하게 이렇게.

[자막/재미말] 정교하고 세밀한 인형 제작에 사용

썬킴/ 브래드피트 같이 만들고 하지 않습니까? 그러다 보니까 밀랍으로 접착제 같이 위에 금속활자를 고정시키다 보니까.

[자막/상황] 활자를 고정하는 밀랍이 녹으면서 글자가 쏠리고 비뚤어지는 경우가 많았음

썬킴/ 이게 위에 이렇게 인쇄본 종이를 계속 여러 번 찍다 보면 이게 흔들리는 거예요. 이게 삐뚤삐뚤삐뚤.

[자막/재미말] 어쩌면 금속활자 인쇄보다 필사 속도가 빨랐을지도~~

썬킴/ 그래가지고 몇 장을 못 찍었어요. 태종 이방원은 포기하지 않고 아들인 세종에게 얘기합니다.

[자막/말] 태종 曰 나는 여기까지!

썬킴/ 나는 여기까지 만들었다.

[자막/말] 태종 曰 과학기술에 관심 많은 세자가 아비의 꿈을 이어 이루도록 해라!

썬킴/ 네가 과학 기술 관심 많지 않냐. 네가 나의 못다 이룬 꿈을 만들어라. 완성시켜라. 세종대왕이 아버지인 태종 이방원의 그런 업적을 받아가지고 완성시킨 것이.

[자막/강조상황] 태종 때 활자 주조 방식을 보완 세종에 의해 탄생한 갑인자

썬킴/ 갑인자였어요. 금속활자를.

[자막/강조상황] 밀랍 대신 녹지 않는 대나무를 끼워 넣는 획기적인 신기술 개발

썬킴/ 대나무 틀로 딱딱딱 고정시킨 거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아요.

[자막/강조상황] 인쇄할 때 활자가 밀리지 않게 됨

썬킴/ 그냥 바로 여러 번 막 찍어낼 수가 있어요.

[자막/강조상황] 당연히 하루에 인쇄 가능한 부수도 증가!

썬킴/ 자치통감 같은 책도 갑인자로 찍어냈는데.

[자막/상황] 갑인자로 찍어낸 자치통감

썬킴/ 문제는 뭐냐 하면 인사동에서 발견되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자막/센말] 그동안은 갑인자로 찍어낸 책은 있었으나

썬킴/ 찍어낸 책은 있지만.

[자막/센말] 갑인자라는 활자는 발견되지 않았던 거예요!

썬킴/ 갑인자 활자가 없었던 거예요. 그런데 이번에 짜잔!

[자막/의성어+강조상황] 짜잔! 지난 2021년 600년 만에 세상 밖으로 나온 갑인자

썬킴/ 드러나게 된 겁니다.

[자막/좌상단 주제자막] 유럽의 금속활자

썬킴/ 이번 금속활자 얘기 나온 김에 금속활자 하면 또 저기 유럽에서 얘기하는 것이 구텐베르크 얘기하지 않습니까?

[자막/강조상황] 직지(직지심체요절) 고려 때 만들어진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

썬킴/ 직지라고 하는 고려시대 때 서적 최초의 금속활자로 찍어낸 서적은.

[자막/상황] 직지심체요절 선광 7년(1377년), 정사 7월 -간행 시기-

썬킴/ 1377년에 정확하게 찍었다라는 기록이 나와 있어요. 청주에 있는 흥덕사라는 절에서 찍었다.

[자막/상황] 직지심체요절 청주목외 흥덕사 -간행 장소-

썬킴/ 나와 있어요. 정확하게. 구텐베르크가.

[자막/강조상황] 구텐베르크가 금속활자로 성경을 찍어낸 시기 1455년 경

썬킴/ 이 성경책을 금속활자로 찍어낸 것도 1450년 경이다라고 알려져 있어요. 어쨌든.

[자막/강조상황] 구텐베르크 성경보다 앞선 고려의 직지

썬킴/ 고려시대 때 직지보다는 뒤예요. 이거는 서방세계에서도 인정을 해. 그렇지만 구텐베르크를 우리가 약간 업적을 인정을 해줘야 되는 게 뭐냐 하면.

[자막/강조상황] 중세교회 부패와 타락을 극단적으로 보여준 면죄부 판매

썬킴/ 당시 가톨릭은 부패할 대로 부패해 가지고 그 유명한 면죄부를 팔기 시작했어요.

[자막/강조상황] 과거의 죄뿐 아니라 미래에 지를 죄도 미리 용서받는다며 판매한 면죄부

썬킴/ 돈 내면 교황이 죄 사해주겠다.

[자막/강조상황]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 역시 신의 이름으로 각종 탈취가 자행된 중세비리의 상징

썬킴/ 지금 바티칸에 있는 성 베드로 성당은 면죄부 찍어내서 그 돈으로 만든 성당이에요. 이거는 팩트, 당시 성경은.

[자막/상황] 일일이 손으로 써내려 간 성경

썬킴/ 일일이 사람이 손으로 몇 년에 걸쳐 쓴 거기 때문에 몰라. 일반 백성들은 성경 내용을.

[자막/센말] 그리스도께서 그렇게 말씀하셨어!

썬킴/ 그리스도께서 그렇게 말씀하셨어.

[자막/센말] 성경... 14페이지에 나와 있어!

썬킴/ 성경.. 14페이지에 나와 있어.

[자막/센말] 면죄부 팔라고!

썬킴/ 면죄부 팔라고.

[자막/말+센말] 진짜입니까? 좀 보여주시면... / 봐도 몰라! 라틴어야!

썬킴/ 진짜입니까? 좀 보여주시면 안 됩니까? 봐도 몰라. 라틴어야. 예. 그렇죠.

[자막/센말] 이거, 이거 안 되겠다!

썬킴/ 이거 안 되겠다.

[자막/강조말] 일반 시민들도 성경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썬킴/ 일반 시민들도 성경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할 방법이 없냐.

[자막/센말] 활자를 만들어 찍어내자!

썬킴/ 활자를 만들어서 찍어내서 저렴한 가격으로.

[자막/센상황] 성경 배포!

썬킴/ 성경을 배포하자 해서.

[자막/강조상황] 금속활자를 이용한 구텐베르크의 성서 출판은 종교개혁의 불길을 확산

썬킴/ 이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가 무어를 만들었냐면 종교개혁을 만들었어요.

[자막/상황] 독일 종교개혁의 아버지 마틴 루터

썬킴/ 우리가 알고 있는 독일의 마틴 루터.

[자막/상황] 프랑스의 종교개혁가 장 칼뱅

썬킴/ 프랑스의 장 칼뱅 등등등이.

[자막/강조상황] 라틴어로 쓰인 성경을 독일어로 직접 내 배포한 구텐베르크

썬킴/ 저렴한 가격으로 찍어낸 성경책을 모든 농민들 평민들에게 뿌리면서 봐라. 지금까지 우리들은 속고 살았다.

[자막/불말] 뒤집어엎자!

썬킴/ 뒤집어엎자!

[자막/강조상황] 1517년 독일 마틴 루터의 종교 개혁으로 생긴 첫 개신교인 프로테스탄트

썬킴/ 해서 만들어낸 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프로테스탄트 신교거든요. 우리보다는 늦었지만.

[자막/강조상황] 유럽 종교개혁의 전제조건이자 성공요인이었던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썬킴/ 큰 성과를 낸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도 우리가 인정을 해줘야 됩니다. 여러분들.

[자막/재미말] 인사동에 가시면 파전도 좋지만 금속활자의 의미도 되새겨 보는 건 어떨까요?

썬킴/ 자, 피맛골에 가서 막걸리만 드시지 마시고 여기에서 우리가 발견한 이 갑인자와 또 동국정운식 한글활자 금속활자 우리가 한 번 그 의미를 새겨보는 건 어떨까요?

[자막/에필] 씬킴의 이런 역사이야기 다음 시간에 또 만나요~

썬킴/ 여러분 다음 시간에 또 인사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썬킴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