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이미지 | 저작권정보 | ||
---|---|---|---|
저작권자 | 국가유산진흥원 | ||
전자자원소장처 | 한국문화재재단 | ||
공공누리 저작권 |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
CCL 정보 | |||
소스코드 |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2312017-001-V00009?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콘텐츠 기본 정보(N2C)
UCI | I801:2312017-001-V00009 | ||||||||||||||||||
---|---|---|---|---|---|---|---|---|---|---|---|---|---|---|---|---|---|---|---|
제목 | 왕의 무덤 | ||||||||||||||||||
콘텐츠 유형 | 동영상 | 언어정보 | 국문 | ||||||||||||||||
생산자 정보 |
|
||||||||||||||||||
기여자 정보 |
|
||||||||||||||||||
기술 정보 |
|
||||||||||||||||||
관련 키워드 | 한국문화재재단;문화유산채널;랜드마크;마인크래프트;왕의 무덤;조선 왕릉;후마윤 | ||||||||||||||||||
내용 | 왕의 무덤만큼 특별한 건축물이 있을까? 왕의 사후에도 왕을 위한 마음에 위치, 비석, 건축 등 묘지에 고려하지 않은 요소가 없을 정도인데... 대한민국의 조선왕릉과 인도의 후마윤 묘지는 각자 어떤 방식으로 왕을 기렸을지 마인크래프트 세상에 빠져 탐험해보자! |
||||||||||||||||||
대본 정보 | 이걸 어떻게 이렇게... 다 만드신 건지... 어떤 잡귀라든지 이런 것들을 막아주는 어떤 액운의 효과가 있는 거고요 이런 부분을 훨씬 더 강조하고 싶어가지고 이렇게 크게 많이 만들었습니다 대각선 방향으로 또 타워들이 있잖아요 이거는 자기의 정체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팔각형으로 되어 있단 말이에요 그래서 이제 각이 많이 질수록 만드는 게 좀 더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와 국제문화협동과정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김영재 교수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10년간 메타버스를 다루고 있는 반갑습니다 네~ 안녕하세요 대표님 안녕하세요 교수님! 오늘 또 다른 주제를 가지고 오늘 또 저희가 또 같이 뵙게 됐네요 오늘은! 대표님께서는 서울에 조선 왕릉 같은 거 많잖아요 네~ 가 보신 적 있나요? 저희 집 근처에 선릉이 있어서 그래서 거기를 한 번 가 본 적이 있습니다 엄청 웅장하게 되어 있더라고요 저도 이제 학생들을 가르치다 보니까 (조선 왕릉에) 답사도 가게 되고 연구를 해야 해서 가봤는데요 신성하기도 하고 무덤이 나올 때까지 굉장히 경건한 마음으로 들어가게끔 구성이 되어 있잖아요 반면에 이제 생소한 해외의 왕의 무덤이라면 또 굉장히 특별한 장치들이 있을 겁니다. 그래서 그 장치를 한 번 여러분들 한 번 공유해서 보면 재미있을 것 같아요 대표님! 네! 오늘은 어떤 문화유산을 구경시켜 주실 건가요? 먼저 둘러볼 문화유산 맵은 무굴 제국의 후마윤 영묘입니다 그 전에 일단 대기실로 가서 저희 제작자분들 한 번 만나도록 하겠습니다 인사도 드려야죠? 네! 일단 이렇게 대기실로 왔습니다 먼저 이번에는 저희 외국 문화유산 맵 팀장님부터 소개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후마윤의 영묘를 제작한 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네~ (외국 문화유산 맵) 한 번 소개 부탁드리겠습니다 저를 따라와 주시면 되겠습니다 네! (감탄) 거창하네요! 처음부터 완전 압도적인 크기네요 이걸 어떻게 이게... 다 만드신 건지 대단하시네요 대단하시네요... 네... 정원이 실제로도 이렇게 돼 있나 봐요 어떻게 보면 타지마할 같기도 하고! 타지마할이 실제 왕의 왕비 묘잖아요 이게 어떻게 보면 시초가 됐던 무덤입니다 이게 시작이거든요! 무굴 제국 후마윤 영묘 같은 경우는 340칸 X 340칸인데 여기 정원까지 포함하면 좀 더 될 것 같고요 아무래도 화려한 건물이다 보니까 블록 종류도 20종류! 그리고 총 블럭이 100만 블록 가까이 쓰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떻게 보면 이런 돔을 만들거나 이제 바닥 같은 거 만들 때 진짜 많이 블록을 쓰신 것 같습니다 팀장님 이번에 후마윤 영묘를 제작을 하시면서 가장 신경 쓴 부분이 어디가 있을까요? 네 우선 전체적으로 말씀을 드리자면 큰 문양과 사암, 대리석 블록 위주로 사용하여 만들었고 벽면이 특별한 문양 없이 단순하게 생긴 형태이기에 여태까지 만들었던 건물들 중에 가장 블록들의 색감 종류를 적게 사용한 것 같습니다 이제 벽면이 약간 모양 같은 거라던가 문양 같은 게 따로 특별하게 디테일하게 되어 있진 않잖아요 그렇죠 네네! 그럼에도 불구하고 되게 그 문 부분은 강조돼 있고 창문 부분도 강조되어 있고 강조될 수 있는 부분만 두드러지게 블럭들의 색감이 나타난 것 같습니다 좋습니다 마인크래프트로 재현하시면서 어떤 점들이 많이 어려우셨어요? 이제 내부로 들어오시면은 네! 후마윤 안에는 팔각형으로 되어 있단 말이에요 그래서 이제 각이 많이 질수록 만드는 게 좀 더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 이슬람 형식에서 굉장히 특징적 부분인데 그 부분들을 잘 조정하셨어요 알겠습니다! 교수님 문화유산은 어떤 문화유산인가요? 후마윤 영묘는 무굴제국의 왕이었던 ‘후마윤’이라는 왕의 무덤입니다 16세기 인도 북부를 중심으로 해서 만들어졌던 왕조고요 인도에 있었던 여러 많은 국가 중에서 제일 넓은 영토를 차지하는 제국을 만들게 됩니다 원래 태생은 티무르예요 티무르는 잘 아시겠지만, 몽골에서 왔죠 후마윤의 아버지가 되겠죠 ‘바부르’라는 사람이 티무르 제국의 사람입니다 그러다 보니까 무굴과 몽골이란 말 자체가 거의 공통어예요 무굴제국이란 말 자체도 몽골이라는 말을 뜻하는 거고 그러다 보니까 건축 자체의 형상을 보면 가운데 큰 돔이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또 타워들이 있잖아요 이거는 자기의 정체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티무르나 이런 애들은 유목 생활하던 사람들이고 천막 같은 모양이잖아요 그죠? 이 국가가 이제 어떻게 보면 이슬람 국가입니다 티무르가 이슬람 국가였기 때문에 ‘쿠란’이 있는데 쿠란이 굉장히 중요한 책이죠 거기(쿠란) 안에 천국에 대한 개념이 있어요 아까 팀장님께서 8각을 만드는데 되게 힘들었다고 하시잖아요 8각은 천국을 의미하는 숫자입니다 쿠란에 명시가 되어 있고요 그 팔각의 형태에서 원형의 돔은 천계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천계도 상징하지만 티무르계에서 왔기 때문에 자기의 어떤 정체성! 그래서 천막의 구조! 그런 것들을 표현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결과적으론 무덤도 하나의 집의 연장선에 있는 거죠 그래서 생활공간을 죽어서까지도 가져가려고 했던 후마윤 왕의 욕망을 한번 우리가 마인크래프트로 만든 작업을 통해서 (의미를) 잘 느낄 수가 있는 거죠 저도 이제 마인크래프트를 할 때 중세 건축 위주로 하다가 네네네! 이런 (이슬람 양식)것과 같이 지어진 걸 볼 때 되게 새로운 기분이 들더라고요 건축양식이나 이런 게 되게 흥미로웠던 것 같아요 팀장님 만드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네, 수고하셨습니다 그럼 다음 문화유산으로 넘어가기 전에 로비 맵으로 이동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 문화유산 맵을 만드신 팀장님 자기소개 부탁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보여드릴 ‘여주 영릉’을 제작한 이번에 둘러보실 문화유산 맵은 저 따라오시면 됩니다 여주 영릉으로 가볼까요? 어!? 근데 이거 동상 표현이... 되게 신기하게 하셨는데요!? 여태까지 보지 못했던 스타일로... 봉분을 만드는데 엄청 많이 쓰셨을 것 같아요 블럭을 네, 맞습니다 그래서 이번 문화유산 맵 같은 경우에는 세종대왕 영릉을 제작하시면서 가장 신경 쓰셨던 부분이 어디가 있을까요? 왕의 무덤을 구성하는 요소가 빈소와 이런 주변 조각상들이 전체가 끝이더라고요 이런 부분을 훨씬 더 강조하고 싶어가지고 이렇게 크게 많이 만들었습니다 여기 무덤도 한번 설명해 주실래요? 여기 보면 기법을 특이하게 쓰셔가지고 이 무덤은 실제로도 이렇게 튀어 올라와 있고 그 주변에 이제 돌이 12각형이라 할까요? 이렇게 둘러싸고 있더라고요 그리고 잔디만 있으면 너무 심심할 것 같아서 조금씩 풀을 설치했습니다 알록달록한 것도 괜찮은데요! 멀리서 보았을 때 이거 진짜 이렇게 풀이 솟아오른 텍스쳐를 주고 있네요! 이 문화유산은 어떤 문화유산인가요? 이 문화유산은 세종대왕의 영릉이고요 조선 4대 임금인 세종대왕 그리고 그 부인인 소헌왕후의 합장묘이고요 조선 최초의 합장릉입니다 조선 왕릉은 공간의 성격에 따라서 진입 공간, 제향 공간 그리고 능침 공간 이렇게 세 가지로 나눠지게 됩니다 홍살문까지가 진입 공간이고요 홍살문까지가 진입 공간이고요 특히 문에서 이제 홍살문까지 공간이 있는데 그 사이에 ‘금천교’라고 있어요 금천교는 속계와 영계를 구분시켜 주는! 그리고 마음의 정화를 담고 있습니다 그리고 홍살문도 이젠 어떤 잡귀라든지 이런 것들을 막아주는 어떤 액운의 효과가 있는 거고요 제향 공간은 ‘정자각’이라고 ‘T’자형 집입니다! 거기 앞은 ‘정전’이라고 하고 뒤에는 ‘배위청’이라고 해서 제향 의식이 이제 일어나는 거죠 거기 사이에 있는데 ‘신도’라고 있어요 신이 왔다 갔다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건축적인 면모를 좀 보시면 그러니까 죽은 자와 산 자의 동선을 굉장히 명확하게, 엄격하게 분리를 했습니다 그래서 공간의 상징성을 부여하고 있고요 가장 중심이 되는 건물은 아까 보여드린 ‘T’자 형 모양의 정자각이겠죠 죽은 자는 왼쪽이 약간 높게 만든 향로 산 자는 오른쪽 어로를 따라서 지나가게 되고 산 자는 정자각과 정전 사이에 제례를 모신 뒤 서쪽 계단으로 내려오게 되고요 죽은 자는 정자각의 정전을 통과해서 신도를 따라서 능침 공간으로 올라갈 수 있는 거죠 이것들은 조선이 이제 없어질 때까지 멸망할 때까지 계속 사용했던 구성 방식이거든요 진입할 때부터 굉장히 신성성이 느껴지고 굉장히 신비롭잖아요 그런 부분들이 땅을 선택하는 데에 있어서도 되게 풍수적인 부분들! 입지 형태를 고민하고 거기 안에 이제 능침을 구성하는 그런 단계들이 오랫동안 반복적으로 해왔던 방식이거든요 그런 것들이 공통적으로 이젠 조선왕조 내내 적용이 되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네 그래도 교수님이 이렇게 설명해 주시니까 이게 왜 이렇게 지어졌고 이런 구성이 됐는지 알게 됐습니다 팀장님! 오늘도 만드시느라 너무 고생 많으셨고 이번 건은 되게 재밌게 만드신 것 같아요! 팀장님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이거 굉장히 보통 일이 아닌데ㅎㅎ 다 만드셨네요! 저도 이걸 만들면서 이게 어떤 뜻을 가졌는지를 잘 몰랐었어요 깊은 뜻을 알아가는 유익한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네, 좋습니다 팀장님 고생 많으셨습니다! 네~ 고생하셨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오늘 두 문화유산에 대해서 이제 이야기를 해봤는데요 공통점도 있고 또 분명한 차이도 있는 것 같아요 뭐 공통점이라 한다면 결국에는 죽은 자의 공간이다 보니까 죽은 자를 위한 공간의 형식이 굉장히 일정하다! 후마윤 영묘가 후대의 왕의 영묘에 굉장히 영향을 줬다는 거고 그다음에 마찬가지로 조선왕조의 모든 왕릉이 유사한 패턴을 가지고 만들어졌다는 것 분명한 차이점은! 아까 이제 후마윤 영묘에서 보면 이제 죽은 자의 공간은 과거에 살았던 공간과 굉장히 비슷하죠 근데 반면에 이제 조선 같은 경우는 어떻게 보면 살았던 공간과는 전혀 다른 하나의 봉분 형태로 구현이 됐다는 거고 각각의 지역마다 고유한 색채들을 ‘다 반영하고 있다’ 이렇게 볼 수가 있습니다 후마윤 영묘 같은 경우에는 건물이 이 무덤을 관에 감싸고 있었고 조선 왕릉 같은 경우에는 이제 그 무덤이 자연에 감싸져 있는 게 되게 큰 차이점이었던 것 같아요 지금 대표님 말씀 들어보니까 굉장히 좋은 해석이신 것 같아요 아무튼 감사합니다! 저도 덕분에 좀 너무 좋은 인사이트를 얻게 되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또 다른 문화유산 주제를 가지고 시청자 여러분들을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네 감사합니다! 물론 대스파로도 볼 수 있겠지만 천막 의 모양들을 보여주었다 보여지는 거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