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진흥원 국가유산 콘텐츠 검색 서비스


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
대표이미지 저작권정보
저작권자 국가유산진흥원
전자자원소장처 국가유산진흥원
공공누리 저작권
제2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2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CCL 정보
소스코드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2407001-001-V00004?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N2R)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
번호 파일명 파일크기 다운로드
1 극한의 섬세함, 조선시대 모자 만들기_KHA_1920X1080.mp4 410.08 MB 다운로드
2 극한의 섬세함, 조선시대 모자 만들기_KHA_1920X1080.mp4 410.08 MB 다운로드

콘텐츠 기본 정보(N2C)

콘텐츠 기본 정보
UCI I801:2407001-001-V00004
제목 K-ASMR 극한의 섬세함 조선시대 모자 만들기
콘텐츠 유형 동영상 언어정보 국문
생산자 정보
생산자 정보
생산자 생산일자
국가유산진흥원 2024-09-03
기여자 정보
기여자 정보
역할 정보 기여자 명
제작사 미디어하마
기술 정보
기술 정보
기술 영역 기술 내용
기타정보
내용정보 국가무형유산 망건장, 국가무형유산 탕건장
내용정보_신규
역사정보
역사정보_시대국가
인물정보
지리정보 제주특별자치도
관련 키워드 국가유산채널;탕건장;망건장;말총;전통공예;전통모자;K-ASMR;무형유산;전통기술;국가무형유산;제주;강전향 보유자;김혜정 보유자;갓;전통갓;조선시대모자
내용 망건과 탕건은 말총으로 만든 전통 공예품으로
옛날 제주 여인들의 주요 수입원이었습니다.

망건은 갓을 쓰기 전 머리카락이 흘러내리지 않게 하려고 말총으로 엮어 만든 머리띠이고,
갓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망건의 제작과정을 소개한다.

탕건장은 말총을 이용해서 갓을 쓸 때 받쳐 쓰는 모자인 탕건과 5천 원 지폐의 이황이 쓰고 있는 정자관을 만드는 장인이다.
모자의 나라 조선의 독특한 모자 탕건과 정자관 제작과정을 소개한다.

극한의 섬세함으로 만들어지는 선조들의 공예 기술을
ASMR 영상으로 만나보시죠.
대본 정보 망건을 두르고 탕건을 쓰다.
Outfitting the Head: The Art of Manggeon and Tanggeon

한국의 ‘망건’과 ‘탕건’을 만드는 과정
The Handmade Making Process of Traditional Korean Headgear Manggeon and Tanggeon

망건과 탕건은 말총(말의 꼬리)으로 만든 전통 공예품,
옛날 제주 여인들의 주요 수입원이었다.
The manggeon and tanggeon refer to traditional headband and hat for men, respectively, made from horsehair,
once a vital source of income for women in Jeju.

강전향
국가무형유산 망건장 보유자
Kang Jeon-hyang
Skill Holder of
Manggeonjang (Horsehair Headband Making),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편자 짜기
Weaving the pyeonja

편자는 망건 아랫부분에 모양을 잡아주는 뼈대로
망건 만들기의 시작이다.
The pyeonja is a band to fasten the bottom of manggeon.
Manggeon production begins with the weaving of the pyeonja.

완성된 편자를 망건골(틀)에 묶어 고정한다.
The completed pyeonja is then fastened to a manggeon frame.

바닥뜨기
편자를 지지대 삼아 위로 당기며 짠다.
Weaving the
forehead covering net
Weaving the net, with the pyeonja as support, while pulling up the strands


머리카락을 감싸는 부분은 조밀하게 뜨고
이마 쪽은 성글게 뜬다
The part covering the hair is woven tightly,
while the forehead area is woven more loosely.

망건 위를 졸라매는 당 걸기
Connecting the dang, a band to fasten the top of manggeon

삶아 모양 고정하기
Boiling to set the shape

김혜정
국가무형유산 탕건장 보유자
Kim Hye-jeong
Skill Holder of
Tanggeonjang (Horsehair Hat Making),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말총 여러가닥을 탕건골(틀)을 고정한다
Fastening horsehair strands to a tanggeon frame

줄머리 놓기
Weaving the
seam

탕건 하단 부분은
지그재그 무늬로 짜 나간다.
Weaving the lower part of the tanggeon
in a zigzag pattern

탕건 상단 부분은 바둑무늬를 넣는다.
Weaving the upper part of the tanggeon
in a checkered 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