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진흥원 국가유산 콘텐츠 검색 서비스


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N2L)

대표 이미지 및 저작권 정보
대표이미지 저작권정보
저작권자 바이젠TV코리아
전자자원소장처 바이젠TV코리아
공공누리 저작권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CCL 정보
소스코드 <iframe width="720px" height="480px"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501001-001-V00363?t=3"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N2R)

관련 파일 및 자원정보
번호 파일명 파일크기 다운로드
1 고대의 첨단 신무기, 쇠뇌_1280X720.mp4 111.36 MB 다운로드
2 고대의 첨단 신무기, 쇠뇌_1920X1080.mp4 111.20 MB 다운로드

콘텐츠 기본 정보(N2C)

콘텐츠 기본 정보
UCI I801:1501001-001-V00363
제목 고대의 첨단 신무기, 쇠뇌
콘텐츠 유형 동영상 언어정보 국문
생산자 정보
생산자 정보
생산자 생산일자
바이젠TV코리아 2012-07-11
기여자 정보
기여자 정보
역할 정보 기여자 명
제작사 바이젠TV코리아
프로듀서 바이젠TV코리아
기술 정보
기술 정보
기술 영역 기술 내용
기타정보
내용정보 ;
역사정보 ,
인물정보
지리정보 서울특별시 노원군, 경상북도 영천시
관련 키워드 ;
요약 정보 2004년, 경북 영천시의 한 포도밭. 무더기로 출토된 삼한시대의 금속무기들 중에 노기가 발견되었다.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최초로 발견된 노기. 노기는 고대 무기 중 하나인 쇠뇌의 부품이다. 과연 쇠뇌는 어떤 무기였을까. <영집궁시박물관 방문정보> 위치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 242-5 연락처 : 031-944-6800 주변볼거리: 임진각, 헤이리 문화마을, 오두산 통일전망대관련 홈폐이지: http://www.arrow.or.kr<육군박물관 방문정보>위치 :
내용 2004년, 경북 영천시의 한 포도밭.

무더기로 출토된 삼한시대의 금속무기들 중에

노기가 발견되었다.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최초로 발견된 노기.

노기는 고대 무기 중 하나인 쇠뇌의 부품이다.



과연 쇠뇌는 어떤 무기였을까.



<영집궁시박물관 방문정보>



위치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 242-5

연락처 : 031-944-6800

주변볼거리: 임진각, 헤이리 문화마을, 오두산 통일전망대

관련 홈폐이지: http://www.arrow.or.kr



<육군박물관 방문정보>



위치 :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사서함 77-1호

연락처 : 02-2197-6453

주변볼거리: 육사기념관, 육군사관학교, 워터캐슬

관련홈페이지: http://www.museum.kma.ac.kr



<수원 화성 방문정보>



위치: 수원화성(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190)

주변 볼거리 : 수원 화성행궁, 화성 융건릉

관련 홈페이지 : http://www.swcf.or.kr
대본 정보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한 육군박물관.

고대부터 오늘날까지한반도 반만년의 무기 역사가고스란히 잠들어 있는 곳이다.이곳에 있는 작은 유물 하나.얼핏 가위 같기도 하고,농기구처럼 보이기도 하는 이것.쓰임새를 쉬이 짐작하기 어렵다.

줌인과연 이 물건의 정체는 무엇일까.

2004년 4월.경북 영천시의 한 포도밭에서금속 유물이 무더기로 출토됐다.

청동꺾창, 쇠화살촉, 쇠투겁창 등기원 전후 삼한시대에 사용된 금속무기들.

그중에서도 단연 눈에 띄는 유물이 있었으니,바로 노기다.

이는 한반도 남부지역에서최초로 발견된 노기였다

.그동안 평양 일대의 낙랑유적에서만집중적으로 발견돼중국 것인지, 한국 것인지그 여부가 불투명했던 쇠뇌.노기는 고대 무기 중 하나인쇠뇌의 부품이었다.

그렇다면 과연 쇠뇌는어떻게 사용한 무기였을까.

1727년, 갑산도호부사를 지낸변진영이 쓴 <노해>.이 책에 쇠뇌를 만드는 방법이자세히 기록돼 있다.

쇠뇌는 활과 비슷하지만손과 팔의 힘이 아니라기계의 힘으로 화살을 발사하는고대 무기 중 하나다.

전체 길이는 50~60cm.사정거리는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최대 1.2km였던 쇠뇌.

이 쇠뇌의 부품 중 하나가 바로 노기다.용도는 방아쇠.이 노기 때문에 활을 보다 편리하게사용할 수 있게 됐다.

활줄을 당겨 발사장치의 걸쇠에 걸고,화살을 장착한 후,목표지점에 정확히 조준을 하고,방아쇠를 당겨 발사한다.쇠뇌는 단기간에 조련이 가능하고,활보다 명중률이 높았다.

또한 활보다 더 멀리 쏠 수 있고,때론 연발도 가능했던 쇠뇌.

이는 당시 주 무기로 사용한활의 성능을 능가하는 것이었다.활과 비슷해 익숙하면서도특별한 무기였던 쇠뇌.

과연 어떤 용도로 사용한 무기였을까.

우리나라 쇠뇌에 대한 기록은<삼국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진흥왕 19년인 558년.“내마 신득이 포와 노를 만들어 올렸는데이를 성 위에 설치하였다”

또한, <조선왕조실록> 중종 19년에서는,“쇠뇌로 범을 잡는 것이 편이하다”라고 기록돼 있다.

즉, 삼한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군사적, 개인적 용도로쇠뇌가 두루두루 사용됐음을 알 수 있는대목이다.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화성.수원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팔달산 정상에 있는 서장대.이곳은 군사를 지휘하던 누각이다.

서장대 뒤에 위치한 누대.여기에 예사롭지 않은 요철이 있다.머리를 낮춰 숨어 보아도바깥의 동태를 모두 살필 수 있는 이곳.

바로 공격해오는 적을 향해높은 위치에서 쇠뇌를 쏠 수 있도록구축한 진지였다.그래서 이름도 서노대.

만약 지난 역사 속에서수원화성이 공격을 받았다면쇠뇌를 품은 서노대의 활약이 대단했을 것이다.

적을 향해 몸을 드러내지 않아도쉽게 사용할 수 있었던 무기, 쇠뇌.2,000여 년의 역사를 가진고대의 첨단 신무기였다.